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수학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는 욕구 때문에 계속 자
살
을 미루다가 결국 100
살
가까이
살
았다. 수학은 곧 장수의 비결인가?우리는 타고난 수학자 1990년대 초 미국수학교사협회는 수학자와 심리학자와 함께 수학적 소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네 가지 능력만 있으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무의식적으로 내기 마련이다.7. 가위바위보가 정신없이 계속될 때는 '보'를 내라! 앞에서
살
펴보았던 1번 전략이 그대로 적용된다.가위바위보협회1842년 영국 런던에서 신사들의 모임인 ‘가위바위보클럽’이 시작됐다. 클럽의 목적은 가위바위보의 방법과 규칙을 가르치고 건전한 놀이 문화를 ... ...
“멸종하는 유전자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의미”라고 설명했다.로이 박사는 조개들이 대규모 지각변동에 의해 서로 다른 환경에
살
더라도 멸종하는 종은 유사하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혀냈다. 환경이 어떻든 간에 멸종할 운명인 조개는 결국 멸종했다는 얘기다. 로이 박사는 “멸종할 확률이 큰 유전자를 지닌 종들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가설이 있지만 모두 입증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즉 바이러스가 저온에서 더 오래
살
아남아서 그렇다거나 숙주(사람)의 면역성이 추울 때 떨어진다는 설명, 겨울철에는 실내에 모여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된 원인은 아니다. 그만큼 우리는 아직 플루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그러나 생태공학은 인류와 공존하는 생물들의 특징을 잘 파악해 이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데 관심이 있다.“도시를 설계할 때도 생태계의 네트워크가 끊어지지 않게 배려하는 게 중요합니다. 미군 용산기지를 공원으로 재창조하는 이유죠. 옛날 같으면 아파트 단지가 됐을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언젠간 인간을 주제로 한 가상 충격시뮬레이션도 개발되지 않을까. 뼈와
살
, 장기 같은 재료(?) 특성을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넘어지거나 손바닥을 맞거나 하는 충돌 상황을 가정하면, 충격이 어느 부위까지 전달되고 어느 부위가 제일 다치기 쉬운지 알려주는 가상시뮬레이션 말이다. 그렇게 되면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몸에서도 가을은 슬그머니 빠져나가는 법이니그 빈자리에 가을 전어의 탄력 있는 속
살
을 채우자맑은 소주 몇 잔으로 우리의 저녁은 도도해질 수 있으니밤이 깊어지면 연탄 피워 석쇠 발갛게 달구어 전어를 굽자생소금 뿌리며 구수한 가을 바다를 통째로 굽자한반도 남쪽 바다에 앉아 우라나라 가을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한다.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기 전에 방사선으로 바이러스를 죽이긴 하지만 일부가
살
아남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첫 혜택은 당뇨병 환자에게 뉴질랜드 생명공학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LCT)는 최근 돼지 췌도를 고분자로 이뤄진 캡슐에 싸서 복강에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재래종 소 ‘엔다마(N’Dama)’는 희한하게도 체체파리에 물려도 끄떡없이
살
아남는다. 같은 아프리카에 사는 소라도 서식지나 종마다 체체파리 기생충에 대한 저항성이 다르다는 얘기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파견된 오성종 박사는 ILRI에서 영국 리버풀대 스티브 캠프 교수팀과 함께 엔다마의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라진다면 우리는 수타 자장면의 쫄깃쫄깃한 맛과 라면의 꼬들꼬들한 촉감을 추억하며
살
아야 할 것이다. 다른 곡류를 이리저리 섞어 봐도 이런 느낌을 재현할 수 없다.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는 면발의 ‘그 씹는 맛’을 내는 마법의 물질 ‘글루텐’이 밀에만 들어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