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주 프로젝트의 성과로 천문학자는 여러 가지 연구를 할 수 있었고, 무려 81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시민 천문학자는 은하에 대해 어떤 새로운 점을 밝히는 데 공헌했을까요? < 가까이 있는 나선은하는 같은 방향으로 돈다! >나선은하는 바람개비처럼 회전하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과연 어떤 ... ...
- [이달의 수학자] 3월 차별을 뛰어넘은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뇌터는 뛰어난 업적을 내놓으면서 대수학과 정수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1918년 발표한 ‘뇌터의 정리’는 수학뿐 아니라 현대물리학에서도 매우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업적이었습니다.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이 뇌터를 극찬한 이유도 뇌터의 정리가 물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했기 때문이죠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기간을 달리해 공기 정화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NASA가 발표한 식물을 포함해 방안을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은 식물을 두고 수주 이상 지나자 일부에서 효과가 나타났다”며 “학생들과 식물의 개수, 기간 등을 달리해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추가로 진행했지만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나타날 수 있다는 이론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9년 10월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자들이 마치 질량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특이한 금속인 바일 반금속을 이용했다. 바일 반금속의 전자들은 저온에서 결정체로 응집되며 밀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밀도 파동상태’가 ... ...
- [지구사랑탐사대] 윈터 윙즈, 겨울엔 어떤 새를 만날 수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특이했다”고 덧붙였지요. 겨울을 나려면 지방이 필요해!연구원의 강연과 대원들의 발표가 끝난 뒤 대원들은 겨울새에게 줄 먹이통을 직접 만들어 보았어요.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에 작은 새들이 굶어 죽는 것을 막고, 겨울을 나러 우리나라를 찾은 철새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에너지를 ... ...
- 우주로 갔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가시광선, 적외선 비디오 영상으로 37일간 쥐의 행동과 건강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에 따르면 우주로 간 쥐들은 새로운 무중력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서식지를 적극적으로 탐색했어요. 또, 이들은 지구의 연구실에 남아있는 다른 쥐들과 비교했을 때 몸무게가 거의 비슷하고 털 ... ...
- 영구동토 속에 좀비 생명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러자 그중 2개의 시료에서 선충이 살아났지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 사실을 발표하며 “이 선충을 연구하면 냉동보존 의학, 우주과학에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영구동토 속에 있다가 되살아난 생명체는 현재 생명체에게 위협이 되기도 해요. 2016년 7월, 러시아 ... ...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콘크리트는 강도와 변용성이 뛰어나 건축에 없어서는 안 될 재료로 손꼽힌다. 그러나 주원료인 시멘트를 생산하는 과정에 ... 만들 때 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터(Matter)’ 1월 15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16/j.matt.2019.11.01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66.8달러(약 7만7220원)로 원자력(99.1달러·약 11만4560원)을 크게 밑돌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의 전망도 비슷하다. 2025년 1MWh당 발전 비용이 육상풍력은 61파운드(약 9만1870원), 태양광은 63파운드(약 9만4880원)로 모두 원자력(95파운드·14만3080원)보다 낮아진다는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아시아가 얼마나 소외됐는지 새삼 깨달았다. 작년에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지금까지 발표된 유전 질환 관련 연구에 포함된 아시아인의 비율은 10%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음이 밝혀졌다(위 그림). doi: 10.1016/j.cell.2019.02.048특정 민족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