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후끈 달아오르게 만드느라 분주하다. 게다가 아직도 3백여명의 과학기술 홍보대사들이
대기
중이다.현재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은 한국과학문화재단과 동아사이언스, 동아일보가 주최하고 과학기술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후원하고 있다. 이들의 열기가 살아 숨쉬는 현장을 다녀왔다.과학기술 ... ...
컬럼비아호 참사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1984년 디스커버리호에서는 농구공만한 얼음덩어리가 발견돼 지구
대기
권에 진입하기 전 로봇팔로 이 덩어리를 치우기도 했다.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지 모른다. 아니면 원인 규명 자체가 불가능해 사고 원인에 대한 개략적인 ... ...
기름으로 얼룩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조석, 바람의 영향을 받으며 이동한다. 그 중 용해 성분은 해수로 녹아들고 휘발성분은
대기
중으로 증발한다.휘발성분이 날아가고 점성이 높아진 기름은 50-8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는 갈색의 끈적끈적한 에멀션을 형성한다. 이것은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고 제거하는 방제작업을 할 때 큰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것이 방지됐다고 생각했다 시카고대 대학원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
대기
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 ...
화성에서 축구공은 반대로 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경우 마그누스 효과보다 공기 분자와의 충돌 효과가 커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희박한
대기
에서는 공기 분자가 먼 거리를 이동해야 서로 충돌할 수 있다. 만약 충돌에 필요한 거리가 공의 지름보다 길면, 공이 진행하는 앞부분에 뒷부분보다 더 많은 분자가 충돌한다. 이때 공의 앞부분에서는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있어 봄에 흔히 볼 수 있는 뭉게구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그에 비해 적란운은 구름꼭
대기
가 산이나 탑 같은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색도 진하며 그 내부에 전하를 많이 집적하여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그 아랫층에 많은 비를 머금고 있다 따라서 천둥 번개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거의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한 실험을 통해 힘을 얻었다. 미국 시카고대의 대학원생 밀러가 플라스크에 원시지구의
대기
속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 물질을 넣은 다음 번개와 같은 전기 방전을 일으켜 아미노산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던 것이다.한편 생명의 기원이 우주일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계속 제기돼 왔다. 이 주장은 특히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세는 인류의 조상이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
대기
의 압력(기압)을 재는 단위 기호는 mb ${10}^{6}$다인(1dyn은 1g·cm/sec²)을 단위면적 1㎠으로 나눈 값, 즉 ${10}^{6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전자기파 펄스의 효과는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이후 1950년대에 실시된 초고층
대기
핵실험 중에 우연히 확인됐다. 당시 하와이의 가로등이 갑자기 소등된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원인이 핵폭발 중 방사된 강력한 전자기파 펄스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던 것이다. 이때부터 전자기파 펄스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비행 가능한 대포를 설계했다. 이렇게 설계된 우주대포는 길이가 무려 9백m나 됐으며,
대기
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사장은 적어도 고도 4천9백m의 고산에 설치돼야 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하지만 실제로 제작·사용된, 우주대포에 가까운 최초의 대포는 독일의 ‘파리 대포’(Paris Gun)였다. 1차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