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포츠 산업, 수학으로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20000㎞ 위에 떠 있는 위성에서 전달받은 전파 신호를 잡아내 홀과 이용자의 거리를 계산해 주는 방식이다. GPS 위성은 전파를 이용해 정확한 시각과 위치를 지상으로 보내 준다. 하지만 거리가 워낙 멀다 보니 신호가 도착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수신기가 신호를 받은 시각과 위성에서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하나의 구멍만을 지난다고? 이에 대한 코펜하겐 해석의 입장은 단호했다. “입 닥치고 계산이나 해!”슈뢰딩거 고양이의 역설1935년 슈뢰딩거가 출판한 논문은 코펜하겐 해석의 아킬레스건을 찌른다. 여기 원자가 하나 있다. 원자는 A와 B, 두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원자가 B 상태에 있으면 아무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있다고 판단하면 전쟁을 감행한다. 전쟁이 끝나면 영토를 넘겨주는 등 전쟁 비용을 계산해서 다시 세력 지형도를 그린다. 민 교수는 여기에 ‘교역’이라는 변수를 추가했다. 모든 국가들이 ‘전쟁’과 ‘교역’ 중 기대 수준이 큰 쪽으로 결정을 내리도록 한 것이다.민 교수는 이 시뮬레이션을 500 ... ...
- [스팀인터뷰] 금속 공예가, 수학에 푹 빠지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중량에 11을 곱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은의 중량을 계산하지요. 단순해 보이지만 이런 계산법 덕분에 옷 맵시를 살릴 수 있는 거랍니다.”윤재원 교수는 수학적인 감각으로 디자인한 뒤, ‘모꾸메가네’ 기법을 이용해 작품을 만든다. 모꾸메가네란 전통 금속 공예 기법 중 하나로, 금속 표면에 나뭇결 ... ...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이슬람인과 무역을 활발히 하고 있었다. 당시 이슬람인은 인도에서 전해진 수 체계를 계산에 편리하도록 변형해 사용하고 있었는데, 피보나치는 이 수의 편리함을 알고 유럽의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1202년에 를 지었다. 이슬람인이 사용한 수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아라비아 ... ...
- BRIDGE 전쟁, 학문을 낳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장소에 모아 기초연구부터 하게 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개발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계산이 필요하다는 점이 알려졌고, 이로 인해 곁가지 프로젝트였던 컴퓨터 개발 계획이 중요해졌다. 2차 대전 때 형성된 과학 연구와 전쟁의 관계는 한국전쟁을 계기로 수정된다. 전쟁이 벌어진 뒤에 군사연구를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일요일, 이런 식으로 6이면 금요일이다.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났던 날의 요일을 계산해보자. 1980년 5월 18일이므로, YA=19, YB=80, M=5, D=18이다.H가 1이므로 1980년 5월 18일은 일요일이다.달력 바꾸기 어려운 건 그레고리력의 ‘선점 효과’ 때문매월 날짜에 따라 요일이 달라지고 복잡한 현재의 ... ...
- 수학을 잘 하면 돈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내는 문제는 ‘공개키 암호’라는 방식인데, 컴퓨터를 이용해 굉장히 많은 수의 조합을 계산하고 검토해야 풀 수 있어요. 일단 수학에 대한 지식과 문제풀이 능력이 있어야 하고 컴퓨터 성능도 뛰어나야 하지요. 또 문제를 풀면 주는 비트코인의 양은 4년마다 절반씩 줄어들어요. 무한정 화폐를 ... ...
- [매스미디어] 중간 세계를 구하라!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바탕으로, 1초 뒤에 각각의 얼굴 근육 좌표가 이동할 확률이 가장 높은 지점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수식을 만들어 준 것이다.또 하나, 영화를 보면서 독자들이 궁금해 할 부분은 바로 등장인물들의 크기다. 고작 1m 정도밖에 안 되는 호빗과 난쟁이들이 어떻게 간달프나 레골라스 같은 다른 인물들과 ... ...
- [생활] 라틴어에서 탄생한 +와 -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비드만의 책이다. 비드만은 +와 -를 지금처럼 연산 기호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상업 계산을 할 때 ‘너무 많다’와 ‘모자라다’는 뜻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했다. 이것을 연산기호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1514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호이케였다. 이후 여러 수학자들의 노력에 의해 +와 - 기호와 표기법이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