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조약에 가입하다 올해부터 기지건설추진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토의된것을 비롯 외무부, 과기처산하 해양연구소, 수산청, 동력자원연구소등 정부관
계기
관에서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관계 전문가들은 남극상주기지 건설비용이 후보지 킹 조지섬에 기지를 설치하는데 27억원, 연간 운영에 18억원 정도 들것이며 상주인원은 10~13명 정도가 될 것이라 내다보고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동안 몇가지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그중의 하나가 전자병기에 관한 일이었읍니다. 그것이
계기
가 돼 유학가서 전자공학 그중에서도 반도체를 공부하게 됐읍니다.그래서 저는 항상 이렇게 주장합니다. 늦었다고 생각하는 순간에 일을 시작하면 가장 빠르다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반도체산업도 결코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해저화산이 자라 수면위로 얼굴을 내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르다.이번 분화를
계기
로 역사를 살펴보면 미하라산의 대분화는 1만년을 거슬러 올라가 그때부터 평균 1백45년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대분화가 일어났고 그 사이사이에 중분화는 30여년의 주기로 일어났다.대분화가 일어나면 용암이 ... ...
한반도 남부에서는 처음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통해 한반도남부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양식 및 일본과의 연계성을 밝히는데 하나의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구석기유적이 발견된 지하퇴적층 상부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전혀 발굴되지 않았던 독특한 형태의 선사주거지유적이 완형으로 발견됐다.BC 10세기경 무문토기시대의 것으로 ... ...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 센터 노정구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하는 것이 비용이 덜 드니까요. 물질특허의 도입은 연구의 당위성을 위해서는 좋은
계기
가 되었다고 하겠지요."어렵게 안전성 연구라는 황무지를 개간해 놓았더니 이제 그 필요성을 인정받게되어 보람과 긍지를 느낀다는 노실장에게서 선구적 연구를 하는 자부심을 엿볼 수 있었다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산학 유대관계를 심화시킴으로써 이 분야 기술 개발을 더욱 촉진하는
계기
가 되었다. 또 다른 예로서 대우중공업 기술연구소에서는 과학기술처의 지원을 얻어 고출력 레이저광선을 이용한 특수 금속가공기계를 연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한 바 있다.한편 ... ...
숲이 죽어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울리히'박사로부터 나왔다. 그는 삼림정책 및 환경에 관련한 정책을 새롭게하는
계기
를 만들기도 했다.그는 지난 82년 스웨덴에서 열린 환경회의에서 "만약 2~3년동안 건조한 여름이 계속된다면 전 유럽의 삼림이 크게 훼손될것이다"라고 말했다. 불행히도 지난몇년간 비가 비교적 적었다. 체코와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기초연구에 쏟는 연구비와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의 기초연구체제의 제고 없이는 특별한
계기
가 마련될 수 없다고 일본인 스스로 진단한다.그러나 한가지 이점은 있다. 정부가 주도하여 민간업체협력기구를 탄생시키고 전문성없이 난립한 기업들을 조정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 ...
한국항공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해당학과의 일반 공과대 과정도 함께 이수하게끔 돼있다. 말하자면 공과대학+항공관
계기
술이 교과과정인 셈이다.항공대학의 학생활동은 그 특수성을 반영, 비행기에 관련된 것들이 많다. 종교서클과 체육서클 취미서클 등 25개의 서클이 있으나 항공기제작연구회 학생활공회 송골매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현상이 분자의 거동으로 선명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발견을
계기
로 종래 물리학과 생물학간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찬란한 분자생물학 황금시대의 막이 오르게 된다. 유전자, 분자생물학분야는 60년대 이래 과학부문에서 가장 많은 노벨수상자를 배출하여 그 수는 20명을 넘는다.195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