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단점이 있어요. 부품을 고정시킬 때마다 일일이 납을 녹여야 하니까요. 그래서
개발
된 것이 바로 ‘브레드보드’랍니다. 브레드보드는 플라스틱으로 된 틀 안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이 들어 있어요. 그래서 플라스틱 틀에 부품이나 전선을 꽂기만 하면 납이 없어도 쉽게 회로를 만들 수 있지요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분야의 경우 가볍지만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수소를 경제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
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수소를 에너지로 쓰는 기술 중 백미는 단연 핵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핵융합은 고온에서 가벼운 원자핵끼리 융합해 더 무거운 원자핵을 만들면서 에너지를 발산하는 반응이다.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마무리되고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순간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죠. 프로그램
개발
과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면 이 진로를 추천합니다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않은 셈이다. doi:10.1016/j.ensm.2019.03.012이 교수는 “이온전도도가 높은 고체 전해질을
개발
한다고 하더라도 배터리 성능이 향상된다는 보장은 없다”며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된 전극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배터리 구조를 시험해 완성도 높은 구조를 설계해야 할 ... ...
압전소자 성능 2배로 끌어올리는 비법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중국 시안교통대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등 공동연구팀이 희토류 중 하나인 사마륨(Sm) 결정을 첨가하면 압전소자의 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압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PDP) 검사 장비를
개발
하며 터득한 플라스마 이론이 이온 챔버에서 쓰이는 이론과 유사해
개발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잡음을 줄인 것도 라돈아이의 강점이다 ... ...
보잉 737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쓰는 ‘A320네오’ 시리즈를 발표해 인기를 끌자, 유사한 콘셉트의 보잉 737 맥스 시리즈를
개발
해 맞불을 놨습니다. 승객을 500명 이상 태울 수 있는 대형 항공기로 경쟁하던 두 회사가(A380과 보잉747) 이제는 상대적으로 작고 경제적인 여객기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보잉 737 맥스 8의 운명은 앞으로 ... ...
[스타쌤의 수학꿀팁] 마술로 배우는 규칙과 대응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교과목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도구다. 그래서 김 교사는 거의 모든 마술을 자체
개발
한다. 기존에 있는 마술이더라도 아이들 수준에 맞게 변형해 보이거나, 교과 내용과 관련지을 수 있는 내용이라면 마술 교구도 직접 제작한다. 마술에 교육적인 요소까지 담았으니, 진정으로 공부와 재미를 ... ...
[헷갈린 과학] 땅돼지 VS 멧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도시에 출몰해 사람들을 놀래키기도 해요. 하지만 이는 인간의
개발
로 인해 멧돼지가 살아갈 공간을 파괴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취리히대 등 공동연구팀은 특수한 지질과 물을 합성해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
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일자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