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이목
시선
주의
평판
다른사람
남쪽
스페셜
"
타인
"(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2019.08.17
등 나에 대한 생각이 많아질 때면 차라리 귀여운 강아지나 고양이 사진을 보거나 아인슈
타인
에 대한 생각을 하는 등 나에게로만 향하던 주의를 끊어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멀쩡한 상태에서도 멀쩡하고 생산적인 생각을 하기 쉽지 않은데 상태가 멀쩡하지 않은 내가 하는 생각이라고 하면 더더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대해진 자아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
2019.08.10
항상 꽃길을 걸어야 한다는 자격의식적 사고방식을 버리는 게 더 중요할 때가 많다.
타인
의 삶에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게 자연스러운 것이라면 내 삶에도 내리막이 존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내가 실패할 가능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아 또한 현실감 없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나쁜 행동을 한 사람인지에 따라 아이들이 도움을 주는 정도가 다를까? 만약 아이가
타인
에게 나쁜 행동을 구분할 줄 알고 해로운 사람과 어울리지 말아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면 해로운 행동을 한 사람에게 비교적 ‘덜’ 다가가는 행동을 보여야 한다. 결과는 실제로 그러했고 선한 행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관련을 보인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사회적 동물로 타고나서 다른 어떤 동물보다
타인
의 마음을 읽는데 열심인 인간의 숙명이 한편으로는 우리를 다른 어떤 동물보다 이타적이기 쉬운 동물로 만들어 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참고자료 -De Waal, F. B. (2008). Putting the altruism back into altruism: the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믿기 때문에 서로 남들만 비난할뿐 반성하거나 행동을 교정하는 사람은 적은 게 아닐까?
타인
의 도덕성을 비난하면 왠지 나는 적어도 그 사람보다는 더 나은 사람인 것 같은 도덕적 정체성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비난은 많지만 악행은 결코 줄지 않는 현상이 유지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비록 실패했지만 너는 다를 거야"
2019.06.29
말해주는 사람이 있을 때에는 성과가 향상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자기고양을 위해
타인
을 깔아뭉개는 시선을 보내는 사람은 사람의 용기를 꺾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성과가 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평가와 억압의 악영향에 더 취약하다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
2019.06.15
심지어 다른 사람들의 일까지 대신하려는 등 분명 본인도 돌봄이 필요한 사람임에도
타인
을 우선적으로 돌보는 경향을 보였다.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얼마나 강인한 사람으로 봐주는지, 얼마나 모든 면에서 완벽한 여성으로 봐라봐 주는지에 따라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달리하는 편이었다. 힘든 ... ...
“자폐 영유아 눈 못 맞춘다는 건 편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정보로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권 교수는 “보통은
타인
의 감정을 볼 때 눈을 보고, 말하기를 배울 때는 입을 보며, 사람이 말할 때 옆에 다른 물체가 있어도 얼굴을 본다”며 “하지만 자폐 영유아는 상황이나 맥락에 맞게 무언가에 집중하는 게 어려울 것”이라고 ... ...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게 아니라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 심한 우울증은
타인
또는 자기 자신을 해칠 위험이 큰 중증정신질환이기 때문에 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면 중증정신질환자가 저렴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진료비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조금 멀리 떨어진 위험까지 신경 쓸 에너지는 없는 것일까? 다른 가능성으로는
타인
의 괴로움에 지나치게 공감하는 경우 공감적 과각성(empathic arousal)이 나타나 번아웃을 겪게 된다. 따라서 되려 공감을 ‘덜’ 하게 된다는 연구들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