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몰
열중
몰두
몰입
통합
집중생산
생산
스페셜
"
집중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한국처럼 벤처 투자자의 관심이 당장의 수익성 모델에만
집중
한다면 바이오텍의 성장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바이오벤처는 장기적인 펀딩이 뒷받침될 때 큰 제약회사로 성장할 수 있다. ▽정영춘 박사=혁신신약은 장기 전략이 필수다. 우리 회사는 약 하나 개발하면서 15년이 ... ...
“선택과
집중
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욱 단장의 ‘이것만은 꼭!’ △가능성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수월성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제약업계는 정부의 보험약가 유지 정책이라는 과보호 밑에서 연구개발보다는 마케팅에
집중
해 매출 올리기에 급급했다. ▽이영식 위원장=결국 과보호 하지 말고 규제를 푸는 게 맞다. 지금까지는 국내에서 적당히 먹고 살게 해줬다. 좁은 국내 시장으로는 성장이 힘들고 전 세계 시장의 40%를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않아 중복 투자가 생깁니다. 국과위에서 BT 분야 예산을 조정하고 효율적으로 선택해서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단장은 ‘생명과학청’이 따로 있는 영국 예를 들며 BT는 통합과 조정이 다른 분야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를 들어 지식경제부 연구과제로 의료기기를 만들면 ... ...
“연구
집중
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임상의사 교수들의 연구에서 큰 역량차를 보입니다.” 현 교수는 그 원인으로 연구에
집중
할 수 있는 환경 차이를 꼽았다. 현 교수는 “미국에서는 병원이나 의대 차원에서 배려해 임상의 교수의 환자 진료 시간을 한나절 이내로 줄여주고, 나머지 시간은 연구에 쏟아 붓게 한다”며 “한국은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현재는 여러 부처가 경쟁적으로 같은 사업에 투자하고 있었다”면서 “부처간 선택과
집중
의 투자 및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금도 정부 부처가 바이오산업에 투자할 때 그런 상황이 종종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이 교수는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연구역량을 높이 샀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생명공학기술(BT)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집중
투자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그는 “한국의 기업은 정보기술(IT)이 매우 발전돼있다”며 “우수한 기초 연구와 IT를 접목시키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주력하고 있다. ▽윤엽 소장(녹십자)=녹십자는 ‘만들기 어렵지만 꼭 필요한’ 의약품에
집중
하자는 전통이 있다. 당장 이윤이 적게 남아도 필요하다면 만든다는 것이 오랜 기간 회사를 이끌어 온 가치관이다. 녹십자가 개발한 신종플루 백신 사례를 보더라도 BT는 사업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에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한다. △장기간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공무원 정책 실명제가 필요하다.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과제를 통합 관리하는 ‘바이오청(廳)’ 신설을 고려해야 한다. 조중명 대표이사는 - 1969년~1973년 서울대 동물학과 학사 - 1973년~1975년 서울대 대학원 동물학과 석사 - 1975년~1977년 ... ...
“역량·도전의지 갖춘 인재 확실하게 밀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1.11
대표적인 예다. ● 확실한 지원…이공계 기피 현상 해결할 것 이 학장은 또 ‘선택과
집중
’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이공계 기피 현상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우수한 역량을 가진 연구자에게 능력을 마음껏 펼칠 기회가 주어진다면 인재는 저절로 이공계 쪽으로 이동할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