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발"(으)로 총 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KOITA l2013.12.16
- DARPA가 외면했던 중견 업체 록히드의 스컹크 웍스가 단돈 $1의 연구 지원 계약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면서 스텔스 기술 연구는 계속 진행되었다. [단계 3] 연구 프로그램의 종료와 개발 단계로의 이관 스컹크 웍스가 기술 실증기 개발에 성공하면서 DARPA의 연구 프로그램은 종료되었다. 시제기 ... ...
- 공공 R&D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KOITA l2013.09.10
- 역할 제시 및 방향성을 잡아가기 위해서는 다음 4가지 성과활용의 한계점 및 원인에 대해 자발적인 혁신방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적극적인 산업계 수요 반영 연구자들은 인건비 확보를 위한 수탁(PBS) 및 개인평가(O/H기여도) 때문에 사업화 R&D 보다는 새로운 기초・원천연구 수행을 ... ...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8
- 초등부터 고등 2학년까지 전 학년 수업에 도입된다. 단순한 암기식 훈련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사고력을 기르겠다는 것이 목표다. 희망하는 대학교에서 신나는 체험캠프 즐기자 학교 수업시간으로 싹이 튼 호기심과 열정을 여름방학에도 이어가고 싶다면 전국에서 실시되는 과학캠프를 추천한다. ...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동아사이언스 l2013.06.28
- ” 융합을 먼저 내세우기보단 나노 기술 융합이 필요한 연구 분야를 먼저 찾고 자발적으로 융합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 본부장은 “앞으로 어떤 분야가 중요해진다는 것을 예측하는 것은 무척 어렵기 때문에 언제든 산업 및 연구 트렌드에 바로 대응하는 게 필요하다”며 “그러기 ... ...
- ETRI, 사랑 나눔 결실 100명 장학생 선발동아사이언스 l2013.06.18
- 장학금은 ETRI 임직원이 사랑의 1구좌 갖기 운동을 통하여 모금한 것으로, 전 직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펼치는 사업이다. 직원들은 매월 일정 금액을 모금 (올해 기준 연 1억 7천여만원), 대전광역시 학생을 대상으로 사랑의 장학생을 선정,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있다. ETRI는 지난 1999년 IMF 경제위기 ... ...
- KAIST와 세상을 잇는 창_KAIST 학생홍보대사, 카이누리KAIST l2013.06.03
- 모든 이들에게 학교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한다. 그만큼 KAIST를 위한 일이라면 자발적으로, 또 열정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럼 카이누리의 활동상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 예비 KAISTian들을 위한 카이누리 카이누리의 가장 큰 활동 중 하나는 KAISTian을 꿈꾸는 학생들의 도우미 역할이다 ... ...
- 사내기업가에 대한 이해와 상생적 토양의 구축KOITA l2013.05.23
-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조직의 이익을 극대화하면서도 동시에 사내기업가의 자발적 협조와 헌신을 꾀할 수 있는 균형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한쪽의 과다한 욕심은 전체시스템의 몰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글을 맺으며 사내기업가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려면, ... ...
- 「창조경제 종합포털」시범서비스 오픈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발굴하여 홍보․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대학, 출연(연), 관련 협회 및 기업 등 민간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교류하고, 아이디어가 사업화, 창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각 주체가 지닌 지식과 노하우를 함께 나누는 지식나눔을 활성화함으로써 스스로 진화하는 시스템으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 ...
- 인기 좋은 팔방미인의 비결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신 회장은 마지막으로 "여성과학기술인회는 회장 혼자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많아 일이 많지만 걱정은 없다"며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업무를 수행하면서 선배들에게 배운 노하우를 아낌없이 베풀겠다"고 말했다. 인터뷰 내내 "제가 잘해서가 아니라 주변 ...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동아사이언스 l2011.12.13
- 후 검체 기증을 흔쾌히 기증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 김 교수의 전언이다. 자발적 기증 없이 바이오뱅크 운영은 힘들어질 수 밖에 없다. 김 교수는 “요즘 인터넷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지면서 유독 기증 거부가 심해졌다”며 “환자들은 자신의 개인정보, 유전자기록 같은 것이 남아 ... ...
이전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