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위로"(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2018.03.27
- 안쪽의 기저층에서 줄기세포가 계속 표피세포를 만들기 때문이다. 즉 안쪽의 표피세포가 위로 밀려 올라오면서 각질화돼 결국은 떨어져 나갈 때까지 한 달 정도 걸린다. 따라서 표피에 문신을 새긴다면 길어야 한 달이다. 물론 이런 일은 불가능하거나 무척 어려운데 표피의 두께가 0.1mm에 불과하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책임을 묻는 상황에서도 해당 사건과 전혀 상관 없는 행실, 평소 됨됨이가 갑자기 수면 위로 떠오르고, 정작 중요한 사실들을 가려버리는 일이 생긴다. 안타까운 사실은 특히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의 ‘인격’이 별로라거나 ‘의도’가 수상하다고 하는 인신공격적 비난들이 도덕판단 상황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말을 듣는다. 딱히 해줄 게 없는 의사들은 대학에 돌아가 하던 연구를 계속하라고 위로해주는 게 고작이었다. 삶이 얼마 남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 삶을 대하는 태도가 바뀌었다. 즉 그동안 지루하다고만 여겨졌던 삶이 몹시 소중하게 다가왔고 사귀던 여자친구 제인 와일드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표현으로 바뀌어야 한다. 포유류 네 종의 나이에 따른 사망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위로부터 벌거숭이두더지쥐, 생쥐, 사람, 말이다.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가 들어도 사망률이 높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공 ‘이라이프’) 실험실 환경에서 반감기 19년 동위원소가 붕괴를 일으켜 절반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트레할로스 오페론(trehalose operon)’이라는 말이다. 오페론은 유전자 발현의 조절 단위로 1950년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자크 모노와 프랑수아 자콥이 제안한 개념이다. 이들은 대장균의 특이한 생태에 주목했다. 평소 대장균은 설탕을 선호하는데 만일 설탕이 없고 젖당만 있는 환경에 놓이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예를 들어 냄비에 물을 끓이면 불에 가까운 아래쪽 물이 먼저 데워져 밀도가 낮아지면서 위로 올라가고 위의 온도가 낮은, 밀도가 큰 물이 내려오는 대류가 생기며 물이 골고루 데워진다. 이중 확산 대류란 이런 밀도차를 유발하는 원인이 두 가지일 때 일어나는 대류다. 즉 물을 끓일 때처럼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아닌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라며 괴리감을 느끼게 되고 또 저 사람이 나를 위로해 주려고 일부러 그러나보다며 되려 더 우울해진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자존감이 높지 않고 평소에 자신의 인간관계가 별로라고 생각하는 등 자신이 엄청 사랑받고 있지는 않다는 걸 분명히 알고 있는 ...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동아사이언스 l2017.09.27
- 밑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탈수 작용으로 물이 생긴다. 이 물로 인해 맨틀 밀도가 떨어져 위로 상승할 때 물이 뜨거워져 한곳에 모이면서 마그마 방(房)을 형성하며, 이후 에너지가 축적되다 폭발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설명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 지역의 화산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가장 주된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통하는 상대로부터 이해받을 때 느끼는 동질감, 누군가에게 호감을 느끼는 경험, 격려와 위로를 받았을 때의 고마움 등의 사회적 감정 또한 잘 못 느낄지도 모르겠다. 또한 비사회성은 간혹 우울하고 쳐질 때만 사람을 만나기 싫은 일시적인 게 아니라 기질적으로 사람에게 별 관심이 없는 것에 ...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2017.07.22
- 나를 쉽게 판단할 수 있음을 떠올려 보자. 또한 내가 누군가에게 관심을 주고, 식상한 위로라고 할지라도 조금이라도 타인을 위해 마음 쓰는 것이 당연하지 않듯 나에 대한 타인의 관심도 결코 당연하지 않을 것이다. ※ 참고문헌 Baumeister, R. F., Stillwell, A., & Wotman, S. R. (1990). Victim and perpetrator accounts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