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스페셜
"
부위
"(으)로 총 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림픽의 과학]약물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없지만 WADA는 이미 유전자 도핑을 금지목록 리스트에 포함시켰다. 과학자들은 신체
부위
의 세포를 조사해 유전자 도핑 여부를 가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또 다른 한편에선 선수의 뇌를 자극해 운동 능력을 잠시 끌어올리는 '브레인 도핑' 가능성이 언급된다. 실제 미국에서 스키점프 선수를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상부인 비강, 인두, 후두, 기관지 등 상기도 조직을 통해 감염된다. 하지만 정확한 표적
부위
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코로나19 환자 대부분은 ‘양성’ 진단 시점에 이미 일차적 바이러스 감염 및 증식이 끝나므로 초기 감염 기전 파악이 어렵다. 또한 그동안 실제 사람이 아닌 배양세포나 ... ...
3D프린터로 출력한 환자 맞춤형 인공뼈로 뼈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제조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암
부위
를 스캔해 환자의 종양 상태에 따라 절제할 뼈
부위
를 정확하게 대체하는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임플란트 재료는 생체에 사용해도 무해한 티타늄 합금을 사용했으며 금속 3D프린팅 방식 중 하나인 ‘전자빔 융용법’을 적용했다. 전자빔 융용법은 합금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워싱턴대 연구진은 지난 4월 국제학술지 ‘셀’에 델타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 말단
부위
가 바뀌면서 항체 공격을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델타 변이 감염자 비율이 83%까지 늘어났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7월 초만 ... ...
노인 우울증,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이어지는 연결고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인지 활동을 하지 않을 때, 즉 멍한 상태이거나 몽상에 빠졌을 때 활성화 되는 뇌의 특정
부위
다. 디폴트모드 네트워크의 전방부와 후방부로 나눌 수 있는데, 우울군은 비우울군에 비해 전방부의 기능적 연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방부의 기능적 연결이 감소됐다. 연구팀은 ... ...
[백신 업데이트]쿠바·터키 백신의 '약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자체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백신이다. 압달라는 코로나19가 결합하는 인간 수용체
부위
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로 구성된 단백질 백신으로 알려져 있다. 4만8000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3상을 지난 3월 시작했다. 쿠바 외에도 남미 국가인 베네수엘라도 6월 말 압달라 접종을 시작했다. ... ...
광범위한 코로나19 변이와 싸우는 ‘슈퍼 항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변이 목록을 정리했다. 이미 확보한 12종의 항체가 이들 변이의 인간 수용체 결합
부위
에 달라붙어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능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이 ‘S2H97’이라고 이름붙인 항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는 물론 사베코바이러스의 인간 수용체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는 능력이 ... ...
제넥신, 화이바이오메드·포스텍과 손잡고 코로나19 mRNA백신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제넥신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GX-I7(지속형 인터루킨-7)과 병용 투여해 백신이 투여된 점막
부위
의 면역반응을 극대화해 감염을 예방한다.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은 생체 친화적인 고분자 물질로 LNP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기존 mRNA 백신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 ...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변이 저항 '항원결정기' 다수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6
등이 식별하는 항원의 특정
부위
를 말한다. 고도 네트워크화 에피토프는 다른 여러
부위
와 연결돼 바이러스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이런 에피토프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바이러스는 감염과 복제, 나아가 생존 자체를 위협받는다. 그래서 고도 네트워크화 에피토프는 '돌연변이가 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약물을 데려가는 역할을 한다)와 두 가지 항원을 인식하는 형태(bispecifics), 항원 인식
부위
만 있어 덩치가 작아 침투력이 높은 형태(fragments)도 있다. 네이처 리뷰스 약물 개발 제공 항체치료제 100개의 면면을 보면 대단한 게 많지만 그 가운데서도 몇 가지는 의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고 평가할 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