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학"(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UST] 공군과 첨단우주전력 강화 위해 손잡아동아사이언스 l2013.07.10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총장 이은우)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성일환)이 항공우주 분야의 첨단 R&D 정책 개발, 고급 석․박사 장교 양성 등 상호 발전을 ... 등 실질적인 교류협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 ※ 위의 내용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의 보도자료입니다. ... ...
- 모기가 사람을 기피하게 만들 수 있다면?KISTI l2013.07.09
- 사람의 체취를 좋아하지 않는 유전자 조작 모기가 개발됐기 때문이다. 최근 미 록펠러 대학과 하워드휴즈 의학연구소(HHMI) 소속의 과학자들이 모기의 후각 유전자를 조작해 사람의 체취와 곤충 기피제의 냄새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실험에 최초로 성공했다. 과학기술 전문매체인 ... ...
- [이달의 역사]자동차 탄생에 숨은 ‘벤츠’ 부부의 비화KISTI l2013.07.09
- 좌)가 장거리 여행에 사용한 벤츠 파텐트 모토바겐 3호(우). 사진 출처 : 위키미디어 대학도시 하이델베르크를 무사히 통과하고 약간 남쪽의 비슬로흐에 도착하자 연료가 떨어졌다. 그녀는 가까운 약국으로 달려가 석유 용제의 일종인 리그로인을 구입해 자동차에 주입했다. 이 약국은 ‘세계 ... ...
- [INNOPOLIS] ‘13년 대덕특구 기술사업화 28개 지원과제 선정 동아사이언스 l2013.07.08
- 대상으로 선정하고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특구기술사업화 사업은 특구 내 출연연․대학이 보유한 공공기술을 이전받아 산․학․연이 공동으로 사업화를 추진하는 사업으로 2년간 최대 8억원까지 지원하며 사업화를 위한 추가 R&D, 마케팅, 시제품 제작, 인증 등을 거쳐 실질적 매출까지 ... ...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8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 캠프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공학자들과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의 연구자들이 직접 지도에 나선다. 로켓 만들기, 화성 환경 분석, 천문 관측, 시뮬레이터 체험 등이 준비되어 있다. 참가 신청은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여름이라는 계절은 더위와 햇볕을 ... ...
- 인체 장기의 '네트워크'를 자극하는 스트레칭과 침술동아사이언스 l2013.07.04
- '는 최근 '스트레칭의 과학'을 비중있게 소개했다. 동아일보 제공 저자인 미국 버몬트 대학 신경생리학 전공 랑제빈(Helene M. Langevin)교수에 따르면 그동안 결합조직에 관한 일부 연구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돼왔다. 대표적으로 섬유세포(fibroblast)는 결합조직과 주변 기관을 연결하는 콜라겐 같은 ... ...
-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 신산업 기회 KOITA l2013.07.04
- 극단적인 접근으로 과학기술 기반의 R&D에 집중하고 있는 미국의 NSF 사례를 들 수 있다. 대학 중심의 기초연구(Basic Research)에 충실한 미국 정부의 R&D 지원은 주로 NSF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컴퓨터 과학, 바이올로지, 수학, 사회과학, 환경과학, 물리학, 공학 등의 기초과학 영역에 집중하여 ...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7.04
- 유기발광 다이오드) 분야에서 발광효율을 높이고, 백색 조명을 개발한 공로로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태우 교수(李泰雨, 39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교수는 발광효율이 낮은 그래핀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여 유연(flexible)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효율을 ... ...
- 2015년까지 국산 PET, SPECT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3
- 함께 전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아날로그 전자신호 처리기술도 함께 연구하는 한편, 국내 대학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전자기술, 영상기술과 접목해서 2015년까지 PET 등 같은 방사선 영상기기 시제품을 제작할 계획이다. ※ 방사선 센서 : 방사선이 물질 속을 지나면 해당 물질의 원자에 ... ...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7.03
- 접종방식에 대한 거부감을 피할 수 있어 접종률 향상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충남대학교 임용택 교수팀(임 교수, 노영욱 박사, 홍지현 연구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하령 박사팀(부 박사, 심상무 박사)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