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의"(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연료전지차 투싼ix 개발의 요람2016.02.24
- 2000년대 초 탈석유화시대의 바람에 부응하고 미래 수소사회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고자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에 뛰어들었고, 많은 시행착오와 실패를 거듭한 끝에 2013년 양산형 수소연료전지차 투산ix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 현대차 투싼ix의 엔진은 미국 자동차 전문미디어 워즈오토로부터 ‘ ... ...
-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동아사이언스 l2016.02.24
- 규모의 수소타운이 조성돼 195kW급의 연료전지가 설치돼 가동 중에 있다. 울산시는 국내 최대의 수소 생산지로 전체 생산량의 67%를 담당하고, 33대의 수소연료전지차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16개 수소충전소 중 2개소가 구축돼 있다. 우리나라에서 연료전지 시장이 확대된 원인은 RPS, 공공건물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오타와대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하기도 했다. 폴 코쿰 교수,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의 페렌츠 크라우스(Ferenc Krausz) 교수 등이 아토과학을 창시한 연구자들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고체 분야에서 관련 성과가 있으면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아토는 10-18으로 펨토의 100 ...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점차 잊혔다. 이듬해 코빌린스키는 다시 아프리카 출장을 갔는데 우연히 텍사스대의 의학곤충학자 앤드류 해도우 교수를 만나 맥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 미지의 감염에 대해 얘기했다. 그런데 해도우 교수의 할아버지가 바로 1947년 우간다에서 지카바이러스를 발견해 보고한 세 사람 가운데 한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맞다면 암은 생활습관의 질병이라는 기존 과학상식은 부활해야 한다! 미국 스토니브룩대의 연구자들은 현재 암 발생의 ‘불운 가설(bad luck hypothesis)’로 불리는 ‘사이언스’ 논문의 내용은 데이터를 잘못 해석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즉 세포 분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가 임의로 일어난 것인지 ... ...
- 파이(π)와 함께 춤을...2015.11.23
- 가운데 한 사람이 51년 전인 1964년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한 미국 로체스터대의 이론물리학자 칼 헤이건이라는 것이다. 1964년 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에는 불과 몇 달 사이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 세 편이 잇달아 발표됐다. 헤이건과 제럴드 구럴닉, 톰 키블의 논문은 세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해독된 생명체 한편 가장 먼저 유전자와 게놈이 해독된 생명체도 파지다. 벨기에 켄트대의 분자생물학자 발터 피어스 교수는 1972년 박테리오파지 MS2의 표피단백질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했고(아미노산 129개를 지정), 1976년 RNA 염기 3569개로 이뤄진 파지 MS2의 게놈을 완전히 해독했다. 참고로 파지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죽여 매장했을 가능성도 있다. 호모 날레디 발굴을 이끈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 미국 출신으로 연구보다는 정치에 능하다는 비난을 받아왔지만, 2009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발표에 이어 이번에 호모 날레디를 발표하면서 고인류학계의 ‘뜨는 별’이 됐다. ... ...
- 동북아시아 3국의 원자력 안전 협력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27
- 원자력안전협의체’를 제안하고 있다. 중•일의 정상이 협의체 구성이라는 대의에 공감을 표했을 뿐 아니라 주변국의 호응도 있어 온전한 형태의 원자력 안전 관리기구가 탄생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유라톰의 사례에서 보듯, 초국가적 기관의 권위는 실무자간 협의 이전에 국가 정상들간의 ...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2015.04.27
- 주로 반응한다. 빛이 충분히 많아져야 멜라놉신이 임무를 교대한다. 영국 맨체스터대의 생물학자들은 이 과정에 원뿔세포까지 관여하는 건 지나친 중복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제기했다. 즉 멜라놉신이 둔감해 빛이 미약할 때가 걱정이라면 막대세포의 로돕신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원뿔세포는 ... ...
이전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