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스페셜
"
논란
"(으)로 총 816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5km까지 날아올랐다. 최고 상승 고도가 각각 달라 어떤 것이 진정한 우주비행이냐를 놓고
논란
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뉴 셰퍼드는 약 10분 전후의 짧은 여행을 진행하는 반면 VSS 유니티는 이륙에서 착륙까지 걸리는 시간이 90분으로 길다. 하지만 우주 경계 부근에서 무중력을 체험할 수 있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상당수 논문은 과학기술논문이 아닌 인문사회과학과 예체능계열에서 나타난다. 최근
논란
이 되고 있는 대선후보자 배우자의 학위논문 표절 역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논문이다. 논문표절은 이제 청문회의 단골소재가 된 위장전입처럼 한국의 고위층을 비롯한 학계 전반에 너무나 널리 퍼진 ... ...
화이자 백신 부스터샷 승인 요청…데이터·백신 부족 상황 속
논란
가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결정을 부추길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백신을 부스터샷으로 활용할지에 대한
논란
도 있다. 1차 접종과 2차 접종 백신을 달리 하는 교차접종이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부스터샷으로는 어떤 백신을 선택해야 하는지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 델타 변이 ... ...
WHO "백신 교차접종, 개인이 결정해선 안돼"
연합뉴스
l
2021.07.14
또 교차 접종은 현재 연구자료가 부족한 영역이라고 덧붙였다. 이 발언을 두고
논란
이 일자 스와미나탄 박사는 이날 밤 트위터를 통해 발언 수위를 낮췄다. 그는 교차 접종이 "개인이 결정할 문제가 아니며 공공보건기관들이 자료를 근거로 결정할 문제"라고 강조하며 "면역반응과 안정성 ... ...
시스템 오류-예약 조기마감
논란
…정은경 "연령 세분화하고 시간조정"(종합)
연합뉴스
l
2021.07.13
이어 55∼59세 접종 사전예약이 보유물량 소진으로 '조기 마감'되는 상황까지 발생하면서
논란
이 일자 정부가 예약 방식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의 접종예약 관련 질의에 "좀 더 분산해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방식으로 ... ...
효능
논란
끊이지 않는 렘데시비르…노르웨이팀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못 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9 입원 환자에 대한 렘데시비르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고 밝혀 렘데시비르의 효능
논란
은 더욱 커졌다. 올해 3월 국내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 20개 연구팀이 중증 코로나19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렘데시비르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렘데시비르를 투약한 환자군이 그렇지 ... ...
억만장자 브랜슨은 정말 우주 다녀온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수분간 머물며 우주여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고도 88.5km 지점이 실제 우주인지에 대한
논란
의 여지도 있다. 지구와 우주의 경계는 헝가리 물리학자 시어도어 폰 카르만이 지구의 대기가 옅어지며 항공기가 날지 못하는 높이를 처음으로 계산하고 고도 100km를 지구와 우주의 경계로 설정했다. ... ...
과학자 21명 “코로나 기원 실험실 유출설 근거 희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없으며 이미 알려진 내용을 재조명한 것일 뿐이라는 다른 과학자들의 주장도 나오면서
논란
이 가열되고 있다. 데이비드 렐먼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감염병이 자연적으로 발생했다는 가설에 반대하지는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이번 리뷰 논문은 한쪽의 주장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마침내 식품첨가물공전이 개정됐다
2021.07.07
처럼 잘못 정해놓았던 식품첨가물 40여 종의 이름도 바로잡았다. MSG에 대한 격렬한
논란
이 불거졌던 2012년에 처음 제안했던 공전의 개정 작업에 식약처가 무려 10년의 긴 세월을 낭비해버린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2018년 1월에도 고시했던 내용을 보도자료도 없이 슬그머니 다시 내놓은 것도 납득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가 승인됐다. 그 뒤 3개가 추가됐는데, 지난달 승인된 103번째 약물이 현재 약효 여부로
논란
이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카누맙(제품명 아두헬름)으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항원(표적)이다. ○항암제가 가장 많아 FDA 승인을 받은 항체치료제 100종의 80%는 전형적인 형태(맨 왼쪽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