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고
투서
기부
출자
공헌
기여
칼럼
스페셜
"
기고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한계라고. 미국 로체스터기술연구소 검출기센터 도널드 피거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
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천문학&천체물리학’에 실린 독일 막스플랑크천문학연구소 시웨이 우 박사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별 질량 상한선 연구현황을 소개했다. 우 박사팀은 우리은하에서 별의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외부 영향을 최소화 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사사이 박사가 2013년 ‘네이처’에
기고
한 리뷰 논문의 제목도 ‘신체조직구성의 자기조직화에서 세포시스템의 동력학’으로 물리학의 개념이 상당히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절단하는 수술이 즐겨 인용되고 있다. 그런데 캐나다 캘거리대 사무엘 위비 교수의
기고
문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을 것 같다. 위비 교수는 글에서 약이 듣지 않은 뇌전증의 경우 외과적 수술이 유력한 해결책일 수 있다며 환자는 물론이고 의사들도 수술을 꺼리는 태도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정말 고통을 느낄 수 있나?(Can fish really feel pain?)’라는 제목의 37쪽에 이르는 긴 논문을
기고
하기도 했다. 솔직히 필자는 논문을 읽지는 못했지만(브라운 교수의 논문도 17쪽 짜리다!), 요지는 물고기의 뇌에는 신피질이 없기 때문에 의식도 없다는 것. 즉 물고기는 뇌에 인지적 복합성이 자리 잡을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인상을 준 ‘단식의 과학’을 소개하는 것도 큰 낭비는 아닐 거라는 ‘믿음’에 잡지
기고
문과 책, 리뷰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몸은 진화적으로 단식에 적응된 상태? 먼저 맷슨 박사는 진화의 측면에서 단식의 유효성을 얘기하는데 꽤 설득력이 있다. 사실 인류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작업은 동물의 실제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1878년, 학술지에
기고
한 것이 인연이 되어 프랑스의 생리학자인 마레이(Étienne Jules Marey)와 알게 됐다. 마레이는 여러 그림을 빠르게 순차적으로 보여주어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환등기인 주프락시스코프(zoopraxiscope)를 만들고 있었다.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클 것이다. 학술지 ‘네이처’ 3월 6일자에는 암흑물질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다룬
기고
문이 실렸다.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천체물리학자인 마리오 리비오와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 천체물리학연구소 조 실크 교수가 쓴 글로 최근 관측의 실패 사례로 시작하고 있다. 즉 미국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오랫동안 연구하고 있는 미국 MIT 앤 그레이빌 교수와 다트머스대 카일 스미스 교수가 쓴
기고
문이다. 이에 따르면 우리 뇌에는 ‘습관회로(habit circuits)’가 있어서 어떤 행동을 반복하다 이 회로에 걸려들면 습관이 돼 좀처럼 벗어나기가 어렵게 된다는 것. 습관회로의 존재는 동물실험(주로 쥐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발견 20주년을 기념해 유방암을 특집으로 다뤘다. 25쪽에 걸쳐 기사 4편과 전문가의
기고
문 3편이 실렸는데 다들 꽤 흥미로웠다. 여기서 말하는 유방암 유전자는 브라카1(BRCA1)으로, 이를 보고한 논문이 1994년 10월 7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당시 표지는 화가 홀리스 지글러의 1992년 작품 ‘내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있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은 약물은 릴루졸(Riluzole) 하나뿐이다.
기고
문에 따르면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실험에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