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ck
입
목구멍
식도
아래턱
턱끝
턱뼈
뉴스
"
턱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딸이
턱
을 다쳤는데
팝뉴스
l
2018.07.09
턱
을 드세요.” '
턱
을 들라 chin up'는 건 기죽지 말고 당당하다는 뜻이다. 딸은 정말
턱
을 들고 사진을 촬영했다. 상황과 포춘 쿠키의 조언이 묘하게 맞아 떨어져서 재미있다. 또 상처를 두려워말고 당당하게 살라는 조언도 힘이 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
2018.06.06
않는다. 머리와 온 몸을 이용해 다가오는 사냥꾼을 집어던지고, 물러나지 않으면 튼튼한
턱
과 이빨을 써서 물어 뜯고 체액을 내 뿜는다. 하지만 이 마저도 안 되면 소리로 막아본다. 애벌레에는 몸통 옆선을 따라 타원형의 하늘색 점으로 된 9개의 숨구멍이 있다. 숨구멍은 몸 속 조직에 산소를 ... ...
각막 3D 프린팅 세계 최초 성공, 시각장애인에 ‘빛’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누구나 각막을 기증할 수 있지만 세계적으로 1500만 명에 이르는 수요에 비해 기증자는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각막 하나의 기본 구조를 인쇄하는 데는 10분도 채 걸리지 않는다. 몇 주간 배양 과정을 거치면서 각막 줄기세포가 각막을 구성하는 여러 세포로 분화돼 자란다. 3D 프린팅 잉크에는 ... ...
아이들의 창의력
팝뉴스
l
2018.06.01
그런데 이 사진이 인터넷에서 화제를 일으킨 이유가 무엇일까. 눈치 채기 어렵다.
턱
에 올라가서 벽에 붙어 있는 아이를 보면 알 수 있다. 팔 모양이 결정적 힌트다. 그 아이는 농구 골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농구를 하고 싶은데 골대가 없으니 한 아이가 희생을 하고 나섰다. 사진 촬영 ... ...
워너원 음성 분석의 힘...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05.10
굵다. 박 연구사는 “진동수뿐 아니라 사람마다 발성할 때 성도의 구조, 혀와 입술과
턱
등 조음기관의 생김새에 따라 주파수의 분포(포먼트·formant)가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음색이 달라진다”며 “목소리를 시각화하면 사람마다 고유한 띠 모양 패턴인 ‘성문’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성문은 ... ...
우락부락했던 얼굴의 변화....비밀은 눈썹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복원했다. 그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눈 위 뼈의 두께를 가상으로 변화시키고
턱
으로 씹는 힘을 바꿔가며 두개골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했다. 기존에는 눈 위 뼈가 음식을 씹거나 깨물 때 두개골에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버팀목 역할을 한다고 봤다. 또 눈을 보호하는 부위와 ... ...
길이 25m '초거대어룡' 실존했나...화석 새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즉시 수중 공룡 전문가에게 전달해 분석을 맡겼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 발견한 아래
턱
뼈 외에도 주변에서 1m 이상 크기의 뼈 화석들을 더 발견해 연구팀에 제공했다. 연구팀은 어스트 절벽에서 나온 초거대공룡의 화석과 릴스톡에서 나온 화석의 유사점부터 비교했다. 기존 화석과 형태적으로 ... ...
[카드뉴스] 내가 먹은 돼지, 정말 토종일까?
2018.03.19
꼬리가 하얀 반면, 재래돼지는 온 몸이 검은 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얼굴에 주름이 많고
턱
이 곧으며 귀가 앞을 향해 곧추 세워져 있다는 점도 고유 특징입니다. 사실 가축에서 토종의 정의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외래종이 너무 많이 또 성공적으로 뿌리내려서죠. 그래서 ‘재래종’과 ... ...
[성은 스펙트럼이다] ② 평창 올림픽에 없던 것
2018.03.13
여자 육상 800m에서 금메달을 땄다. 하지만 성별 논란이 일었다. 굵직한 목소리와 거뭇한
턱
그리고 그녀의 압도적인 기록 때문이었다. 같은 대회에서 6등을 기록한 이탈리아의 엘리사 쿠스마는 인터뷰에서 “저런 사람은 우리(여성 육상 선수)와 함께 뛰면 안 됩니다. 제게 그녀는 여성이 아니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깔때기그물거미는 호주 남동부에 있는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처음 발견된 종으로,
턱
과 송곳니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깔때기그물거미는 위협을 느끼면 몸을 일으키는데, 이때 독이 서서히 송곳니 끝으로 흐른다. 그리고 거미가 방어 자세를 유지할수록 독방울이 점점 더 커진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