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등알
알전구
진공관
혈소판
크리스마스전구
전등
뉴스
"
전구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보다 작은 X선 암치료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장비는 대부분 수명이 짧고, 내부 냉각장치와 전원장치가 복잡하고, 내부구조가 구형
전구
에 들어가는 ‘필라멘트’ 형식으로 돼 있어 고장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KAIST 연구진은 전기적 성능이 뛰어난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장치를 개발했다. ... ...
유전자 복구 시스템 차단해 암세포 재발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아우렐리에 어니스트 독일암연구센터(DKFZ) 분자유전학과 연구원 연구진은 쥐의 신경
전구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유전자 수리 시스템을 막으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고 12일(현지 시간) 학술지 ‘네이처 커뮤티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자외선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의해 DNA는 파괴하지만, ... ...
[여기에 과학] 30대 여성 난소에서 물혹이 많이 생기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주변으로 췌장으로 분화될 세포들이 자리한다는 것입니다. 라비디 갈리 교수는 “
전구
난모세포들이 생식샘으로 이동할 때 일부가 자리를 잘못 찾아 췌장세포에 포함될 수 있다”며 “결국 난소와 췌장에서 후에 종양인 물혹으로 자라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성인 몸에선 난소와 ... ...
[과학 읽어주는 언니]교류와 직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1
우아영 기자 제공 사실 미국에 최초로 공급된 전기는 교류가 아니라 직류였다. 1880년,
전구
의 성공으로 한껏 고무된 에디슨은 뉴욕으로 본거지를 옮겨 전기공급소(직류 발전소)를 지었다. 하지만 반경 0.8km 안에 있는 지역에만 배달할 수 있었다. 왜였을까? 전기를 보낸다는 것은 여러 사람이 ... ...
합성섬유 원료 '폴리우레탄' 생산 편리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폴리우레탄의 다양한 산업에 쓰이며, 그
전구
체인 이소시아네이트도 매년 많은 양이 소비된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포스겐을 활용하기 때문에 그 유해성이나 환경오염 등의 우려가 있었다. 연구팀은 금속과 그 주위를 감싸고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배아세포들은 어떻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3
MPZ)들이 생겨 몸통이 될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고 그 빈자리에선 척추를 형성할 체절 발생
전구
중배엽세포(PSM)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컴파스 교수는 “밀도가 높아진 세포들의 집합은 서로의 접착력에 이끌려 마치 유체처럼 흐르듯 함께 이동한다”며 “이후 세포가 성숙하면 고체처럼 ... ...
[짬짜면 과학 교실] 아낌없이 주는 전지
2018.08.18
+)→전선→
전구
→전선→전지(-)’예요. 다시 말하면, 전지의 (+)극에서 나온 전류는
전구
의 꼭지-필라멘트-꼭지쇠를 거쳐 전선을 타고 한 바퀴 돌아서 전지의 (-)극으로 들어가요. 이때 전선은 자석이 되어요.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자석의 성질이 없던 전선이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는 ... ...
김 서리지 않는 스마트 안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배선 인쇄 기술의 해상도를 5배 이상 향상시킨 결과다. 연구진은 레이저 회절 광학계로
전구
의 필라멘트처럼 가늘고 얇은 레이저 초점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1㎛ 굵기의 가는 배선을 제조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실제 안경에 적용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순식간에 김 서림과 성에를 제거할 ... ...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컨테이너가 나뒹구는 빈 창고로 들어갔다.
전구
몇 개가 창고 안을 비추고 있지만 창고 안은 어둡기만 하다. 우중충한 천장 색깔 때문인지 회색 컨테이너 때문인지, 먼지에 곰팡이가 뒤섞인 냄새가 나는 느낌이다. 서든어택 홈페이지 제공 정말 여기에 적이 있기는 한 걸까. 한 컨테이너 뒤에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역할을 한다. 척추동물의 중추시스템이 발달할 때 모양이 다른 다양한 신경세포의
전구
세포인 방사성신경교세포(radial glia cell)의 증식 정도와 갯수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각 영장류와 고대 인류종 등을 대상으로 노치-2 시그널링과 관련된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