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럼프 노벨상 타긴 탔다. 엽기노벨상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이들은 올해 ‘사이언티픽 리포트’ 5월 22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잘 늘어나는 피부와
유체
골격을 가진 지렁이는 몸을 움직일 때 수면 위에 생기는 파형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크리스토퍼 왓킨스 스코틀랜드 애버테이대 박사팀은 2019년 ‘사이언티픽 리포트’ 4월 3 ... ...
에어컨은 코로나바이러스 '슈퍼전파자'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가 진행했다. 수학자인 비르니르 교수는 라그랑주
유체
역학을 기반으로 바이러스가 포함된 침방울과 에어로졸이 특정 공간에서 어떻게 퍼지는지 컴퓨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했다. 비르니르 교수는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교신저자로 참여해 국제학술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반구를 수놓는 마젤란은하의 수수께끼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데 성공하고 네이처에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진은 마젤란운을 둘러싼 가스구름의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마젤란운이 우리은하의 영향을 받으면서 마젤란운을 감싸고 있던 이온화된 중성가스 일부가 펼쳐지며 마젤란 계류를 형성하게 됐다는 사실을 밝혔다. 마젤란운이 우리은하 주변을 ... ...
'부력 뒤집혔다' 수면 아래로도 떠다니는 배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연구팀의 실험 장비다. 밀폐 용기 속에 끈적한
유체
를 넣고 위아래로 흔들면 공기 위로
유체
가 층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닥면에 배를 놓으면 마치 거꾸로 떠있듯 배가 바닥면에 붙게 된다.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액체보다 훨씬 가벼운 종이배가 아랫면에 띄웠을 때도 뜨는 이유도 부력 ... ...
얼굴 가리개·호흡밸브 마스크는 침방울 차단 효과 거의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때 침방울이 퍼져나가는 것을 레이저 실험으로 보이고 그 결과를 이달 1일 국제학술지 ‘
유체
물리학’에 발표했다. 투명한 얼굴 가리개는 보통 이마에 끈으로 두르고 앞부분을 막는 형태다. 얼굴의 앞부분이 가려지나 옆과 아래는 뚫려 있어 답답함이 덜하다. 마스크에 동전만 한 배기 밸브가 달린 ... ...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공간분해능이 높은 진폭 패턴을 빛(정현파)을 사용했다. 그 결과 미세 세포구조와 주변
유체
의 움직임을 마치 순간적으로 ‘얼린’ 것처럼 처음으로 한 화면에서 동시에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미세 유로 채널 연구나, 높은 시간분해능이 필요한 칼슘 신호 전달 등 생명, 물리 현상 ... ...
소리로 화학반응 제어할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밝힌 첫 사례다. 김 단장은 “소리를 이용해 분자의 거동을 조절했다”며 “화학반응과
유체
역학을 접목해 발견한 새 현상으로 소리를 이용해 다양한 화학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후속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거품 터지는 현상 설명하는 새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뒤집는 것으로 바꿔 놓았다. 연구팀은 물보다 점성이 100만 배 높은 실리콘 오일을 이용해
유체
표면을 옆으로 배치하거나 거꾸로 배치해 이때 표면에 발생하는 거품도 조사했다. 실리콘 오일은 매우 끈적해 작은 용기에 담으면 표면장력 때문에 옆으로 눕히거나 심지어 거꾸로 뒤집어도 흘러내리지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성 오작동 유발하는 태양 플레어 예측 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태양의 각기 다른 곳에서 방출되는 자기 에너지가 서로 재연결될 때 생기는 자기
유체
역학적 불안정성의 임계 조건값을 도출하고 대규모 태양 플레어를 예측하는 물리학 기반의 모델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도출한 임계값 모델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있었던 ... ...
미세먼지 품은 유해가스 물 속 작은 기포로 만들어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인공지능(AI)을 활용해 10~50㎛ 크기로 일정하게 만들어내는 것을 검증했다. 이어
유체
의 흐름을 계산해 장치 속 물의 높이와 기체 흡입량, 기포의 크기 등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를 모두 없애는 이상적인 운전조건을 찾아냈다. 연구팀과 한국이엔지는 분당 1만 l의 배기가스를 물속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