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머니 X염색체만 활성화된 암컷 쥐, 뇌 노화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유전
자가 비활성화된 것에 주목했다. 크리스퍼
유전
자 가위를 사용해 비활성화된 특정
유전
자들을 활성화한 결과 노년기에 인지 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만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X염색체가 어떻게 뇌 노화를 가속화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듀발 교수는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쿼럼 센싱(Quorum Sensing‧세균의 세포밀도 인식메커니즘) 신호가 퍼시피컴의 독소 합성
유전
자 발현을 초기 단계와 고도화 단계에 모두 걸쳐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퍼시피컴은 자연에서 시스타우젠스와 영양분을 경쟁적으로 확보하며 독소의 합성경로와 에너지 대사를 조정했다. 박테리아와의 ... ...
[과기원NOW]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에 장진아 포스텍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영양소로 알려진 '이노시톨'의 대사 시스템 핵심효소인 'IPMK' 단백질이 동물세포의 핵심
유전
자 발현 네트워크의 중요한 전사활성화 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암 치료 등 혁신적인 치료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게됐다는 의미가 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세병 생명과학과 ... ...
조기 출산 원인 단백질 발견…"분만 시기 조절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관련한
유전
자의 비활성 상태가 더 오래 유지될 수 있었다. KDM6B를 사용해 임신과 관련한
유전
자 근처 히스톤의 메틸기를 조절하면 분만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KDM6B 단백질이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작용하면 임신 기간을 예측하거나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분석했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한국 의과학자들을 스탠퍼드대 연구실로 초청해 광
유전
학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여러 연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 후학 양성에 힘쓰며 국내 의과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일례로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스탠퍼드대 신경과학 박사과정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
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말했다. 이어 “eCas12f1은 작은 크기와 강력한
유전
자 교정 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전
자 치료제 개발과 생명공학 응용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7일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56048-w ... ...
한국인 DNA에 새겨진 변이 8개 발견…인간
유전
체 진화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대규모 한국인
유전
체 정보의 체계적 구축은 물론 향후 전 세계
유전
체 연구와 정밀의료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든든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지난 8일 게재됐다. doi.org/10.1093/nar/gkae1294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단서가 등장하게 될지 관심이다. 헌팅턴병은
유전
적 돌연변이에 의해 헌팅틴 단백질
유전
자에서 'CAG 반복서열'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발생한다. CAG 반복서열이란 시토신, 아데닌, 구아닌 등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서열이다. CAG 반복서열이 증가하면 헌팅틴 단백질의 급격한 응집을 유발해 독성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손상 부위에서 중단된다"며 "이는 복제되지 않은 DNA를 축적하고 DNA 단절을 발생시켜
유전
체 불안정성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강 연구윈원은 "염색체 복제나 손상 복구 조절 과정이 손상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을 탐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4-55005- ... ...
AI
유전
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기술은
유전
자치료제, 분자육종, 합성생물학 등 광범위한 파급력을 보여줬다. AI 기반의
유전
자 편집기는 기존 시스템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생물학‧의료‧농업‧제조 분야에서의 응용 범위를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는 세포나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노화 항체치료제'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