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직"(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떠올려보라. 멀리서나마 사자를 보고 그린 것도 아니고 컴컴한 동굴에서 횃불을 들고 오직 기억에 의존해 그린 그림이다! 왼쪽은 적어도 6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을 그래픽 처리한 것이고(원 그림은 알아보기도 어렵다) 오른쪽은 3만여 년 전 현생인류가 남긴 사자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동아사이언스 l2018.06.18
- 캐터필러를 쓰는 것이 정답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보면 월-E는 신체 모든 부위가 오직 ‘쓰레기 청소’에 맞춰 디자인돼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월-E의 손가락은 3개다. 3개의 손가락 모두 넓적하고 끝부분은 쓰레받기 마냥 다소 각이 서 있다. 인간의 손처럼 정밀한 작업을 할 수는 없겠지만 ...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동아사이언스 l2018.06.17
- 말리거나 탄성을 이용해 먼 거리를 튀어 이동하고, 다른 물체를 집는 등 역동적인 동작을 오직 자기장만으로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다. 소프트로봇이나 인체 내 약 전달체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를 모은다. 김윤호, 육현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팅 ... ...
- “세상에서 가장 빠른 DB” 볼트DB 한국 상륙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6.15
- DB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 과정의 부수적인 작업을 모두 없애고 오직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에너지를 100%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볼트DB는 멀티쓰레드가 아닌 싱글쓰레드를 채택했다. 과거에는 하나의 CPU가 많은 일을 해야했기 때문에 멀티쓰레드 ... ...
- 내일의 아마추어 수학자를 위한 안내서수학동아 l2018.06.15
- 한다. 즉, 페르마 다음 문제는 이 상호직교 라틴방진의 개수가 최댓값이 되는 경우는 오직 크기 n이 2=2의 1승, 3=3의 1승, 8=2의 3승 같은 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밖에 없다는 가설이다 가설의 역인 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최대가 나온다는 건 이미 증명됐지만, 이 명제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문제는 ... ...
- [아마추어?수학자!] 샌디에이고 주부 마저리, 테셀레이션 수수께끼 풀다 수학동아 l2018.06.13
-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으니 라이스는 칼 라인하르트를 빼면 수학자들보다 테셀레이션을 더 많이 찾은 셈이다. *출처 : 수학동아 2018년 6월호 '세상을 놀라게 한 아마추어 ... ...
- 비밀투표 보장하는 블록체인 선거 시스템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1
- 이하 선관위)가 개표를 완료하면 최종당선자와 총 득표수가 공개된다. 특정 유권자가 오직 한 표만 행사했는지 검증하면서도, 누구에게 투표했는지는 알수 없는 현행 비밀투표 시스템을 대부분 민주주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다. GIB 제공 최근 길게 늘어서 기다리는 시간조차 필요없는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전쟁은 인간의 본성? 2018.06.03
- 74년부터 무려 4년 동안 피를 흘리는 참극이 계속됩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전쟁이 오직 인간 사회에서만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곰베 침팬지 전쟁의 사례가 알려지면서, 이런 주장에 의문이 제기되었죠. 처음에는 침팬지가 인간 사회의 ‘나쁜 물’이 들어 전쟁을 ... ...
- 미래 건 양자컴퓨터 5파전..."양자 통제 기술과 소재가 관건"동아사이언스 l2018.05.11
- 기존 컴퓨터는 5경6295조 개에 달하는 건반(비트)을 일일이 쳐야 하지만, 양자컴퓨터는 오직 50개의 건반(큐비트)만 치면 된다.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는 이온트랩 방식으로 20개 양자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 제공 인스부르크대 현재 세계 양자컴퓨터 연구자들은 이런 계산을 가능하게 할 ... ...
- 부모 챙기는 건 인간뿐?...“사람과 가장 닮은 유인원도 부모자식 개념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8.05.07
- 돌보는 동물은 많다. 하지만 그 반대의 일, 늙은 혈육을 챙기는 자식이 관찰되는 건 오직 인간뿐이다. 유전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인 영장목 유인원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수화도 알아 듣는다’ 등 각종 연구에서 인간과 유인원의 닮은 점이 부각되고 있지만,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