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관
뉴스
"
상호관계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O형이 코로나19 위중증·사망 위험 낮은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채취한 혈액 샘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동안 논란이 됐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과 혈액형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A형이 코로나19에 더 잘 감염된다거나 중증 환자로 진행될 가능성이 많다는 등 상관성이 높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고전역학의 세계에서는 같은 입자라도 번호를 붙여 모든 입자의 궤적을 끝까지 추적할 수 있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는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4구 당구에서는 빨간 공이 둘, 흰 공과 노란 공이 각각 하나씩 있다. 흰 공이나 노란 공으로 빨간 공을 모두 맞히는 것이 4구 당구 ... ...
'개교는 했지만…' 한국에너지공대 해결 과제 수두룩
연합뉴스
l
2022.03.02
2일 오전 전남 나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입학식 및 비전 선포식이 열리고 있다. 이날 첫 신입생을 맞이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은 세계 최초의 에너지 특화 연구·창업 중심 대학으로 학부 400명(학년당 100명), 대학원생 600명 규모의 소수 정예대학으로 운영된다. 연합뉴스 제공 세계 최초의 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1954년 팽이가 돌아가는 것을 보고 있는 볼프강 파울리(왼쪽)과 닐스 보어. 위키피디아 제공 양자역학에 좀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소립자들이 '스핀'이라는 물리량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스핀은 자체의 회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실제로 입자가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예 ... ...
미세플라스틱 '자폐스펙트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섭취 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은 구형에 가까웠으나, 실험쥐 뇌 조직 내부 미세플라스틱은 파편으로 검출됐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미세 플라스틱이 영유아에 발생하는 난치성 신경발달장애인 자폐스펙트럼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진수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선임 ... ...
[과학게시판] ‘탄소중립과 원자력’ 과총 이슈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과총 제공.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17일 오후 2시 ‘대전환 시대의 국가 에너지 믹스: 탄소중립과 원자력’을 주제로 과총 이슈포럼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날 포럼의 주제발표는 노동석 전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본부장이 ‘탄소중립과 원자력’을 주제로 진행한다. 패 ... ...
[우주산업 리포트]기로에 선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협력
2022.01.28
국제우주정거장(ISS). NASA 제공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협력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감돌고 있는 전운(戰雲) 때문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심각한 경제적 대가와 엄청난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불확정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2022.01.20
독일 이론 물리학자 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1901-1976). 크리에이티브커먼스 양자역학은 잘 몰라도 '불확정성 원리'는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독일의 이론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27년에 주창한 이 원리는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미시세계가 고전적인 거시세계와 근본적으로 어떻게 ... ...
[표지로 읽는 과학]줄어드는 동물 다양성, 지구상 식물도 위기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6
사이언스 제공 새빨갛고 달착지근한 열매를 맺는 식물은 새들과 밀접한 관계다. 새들이 열매를 먹고 다른 데로 날아가 똥을 누는 것을 이용해 씨앗을 멀리 퍼뜨린다.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동물이 줄면서 식물의 번식력에도 큰 손실이 생겼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3일( ... ...
표정에서 감정 읽는 인공지능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7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이도훈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기반의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한 얼굴 표정별 거리 지도와 얼굴의 특징을 담은 입체정보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표정 인식 정확도를 한층 높였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라이트필드 카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