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익
천서
배트
뉴스
"
박쥐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현실적인 송곳니의 고양이
팝뉴스
l
2019.04.13
이미지 속 동물은 검은 고양이로 보인다. 그런데 턱이 굉장히 많이 발달해있다. 귀는
박쥐
의 귀처럼 꼿꼿이 서 있다. 가장 특징적인 송곳니. 사람 손가락 한 마디보다 더 길다. 고양이라기보다는 흡혈귀 혹은 아프리카 평원의 맹수를 떠올리게 한다. 사진 공개자는 조작이 없다고 말하지만 해외 ... ...
[내 마음 왜 이럴까?]인간은 험담을 통해서도 공감을 얻고 싶어 한다
2019.04.07
모두 이해받고 싶어합니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동물입니다. 물론
박쥐
나 고래도 초음파로 대화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꿀벌도 꽃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춤을 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사용하는 아주 복잡하고 세련된 수준의 언어와 비견하기 어렵습니다. 단지 ... ...
뒷마당에 나타난 배트맨
팝뉴스
l
2019.03.21
특별한 능력이 있다. 미국의 사진 공유 사이트에 화제가 된 사진 속 동물은 거대
박쥐
다. 일부 네티즌들은 “배트맨”이라고 불러도 좋을 크기와 자태라고 평한다. 사진은 필리핀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날개 겹침’ 연결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게 날개 짓을 한다.
박쥐
나방과
박쥐
나방 날개걸이 확대(SEM) 형태적으로 막처럼 얇고 투명한 날개를 갖고 있는 곤충을 벌목이라고 하는 것도 맞지만, 앞날개와 뒷날개가 연결되어 결합한 날개를 달고 있는 곤충을 의미할 수도 있다. 'Hymenoptera'의 ... ...
개의 얼굴을 가진
박쥐
팝뉴스
l
2019.02.01
박쥐
진화를 연구한 니콜라스 네시. 그는 2009년 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특이한 외모의
박쥐
를 발견하고 사진에 담았다. 사진 속 부에티코퍼견장
박쥐
(Buettikofer's Epauletted Bat)는 무엇보다 얼굴이 독특하다. 눈코입이 강아지를 연상시킨다. 순진한 표정 느낌도 영락없는 강아지다. 해외 네티즌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섭취해야만 하는 비타민이 된 것이다.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원숭이와 유인원)와 과일
박쥐
는 여전히 과일과 잎을 주식으로 하므로 문제가 될 게 없다. 반면 사람은 식단이 제각각이라 가난이나 특수한 상황(예를 들어 수백 년 전 장기 항해)으로 비타민C가 결핍된 음식을 계속 먹게 되면 ... ...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행동을 분석해 뇌가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서다. 지금까지의 쥐나
박쥐
를 이용한 관련 연구는 모두 실험실에서 이뤄졌지만, 울라노브스키 교수는 정확한 환경이 더 정밀한 연구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 믿고 있다. 네이처는 울라노브스키 교수가 200미터의 동굴을 만들어 연구를 ... ...
도시 개구리가 암컷을 더 잘 유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복잡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봤다. 실제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틀었을 때 도심 속에서는
박쥐
나 흡혈파리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도시 수컷이 암컷을 더 잘 유혹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쪽에는 도시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다른 한쪽에는 숲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틀고 암컷이 어느 방향으로 ... ...
나방의 가슴 털, 스텔스 기술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12.04
뒤
박쥐
에게 발견될 가능성이 얼마나 높아지는지도 확인했다. 가슴 털이 없는 나방은
박쥐
에게 발견될 위험이 38% 증가했다. 닐 연구원은 “나방의 털은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흡수했고, 여러 방향의 음파를 흡수할 수 있었다”며 “나방의 음파 흡수 기술을 이용하면 초소형 흡음기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인정을 받지 못한 채 2001년 작고했다. - 메이요클리닉 제공 2006년 ‘사이언스’ 기사에는
박쥐
가설을 내놓은 폴 콕스가 50년 가까이 리티코-보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헌신했던 레너드 컬렌드를 만났을 때 들은 말을 회상하는 부분이 있다. 당시 레너드는 “누가 밝혀내든 관계없네”며 “난 그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