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전해액 첨가제로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개발된 첨가제 조합 기술은 리튬금속 음극 표면에 바람직한 이중층 고체전해질 계면
박막
을 형성해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리튬이온을 균일하게 전달해 리튬금속전지의 수명과 고속 충방전 특성을 대폭 향상시킨 게 특징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홍석원 교수 연구팀이 빛을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유해물질의 전파를 막는 방법을 찾고 있다. 지난 5월 인도 뭄바이대 연구팀은 침방울의
박막
이 쉽게 붕괴할 수 있는 조건을 찾아 바이러스가 빨리 죽는 표면 미세구조와 접촉각을 제시했다. 국내에서도 이런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조영태, 김석 창원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이 그 주인공이다. ... ...
실리콘 태양전지에 한층 가까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경쟁 중이다. 특히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광흡수층으로 쓰이는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표면의 결함을 얼마나 보완하고 제어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표면의 납과 요오드 계열의 결함 등이 광흡수를 통해 만들어낸 광전하들을 가두는 트랩으로 작용해 광전변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 ...
QLED 디스플레이 자유자재로 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변형이 일어난다. 종이접기로 따지면 ‘접는 선’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 QLED와 에폭시
박막
사이에는 은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얇은 식각 방지층이 있어 레이저로 인한 QLED 내부 손상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종이처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양자점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기술로 만든 ... ...
손상 기능 치유해 성능 높이는 2차원 반도체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성균관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손상된 기능을 스스로 치유하는 초
박막
반도체 소자가 개발됐다.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승남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 국민대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금속전극 ... ...
[한 토막 과학상식]방사선으로 해킹 불가능한 양자난수 만드는 1.5mm 초소형칩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수 있어 방사선 위험도 없다. 연구팀은 베타선을 만드는 니켈-63을 아주 소량 코팅하는
박막
제조기술과 잡음을 줄인 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CMOS) 기술을 적용했다. 니켈-63의 양을 줄이면 베타선이 난수발생기 내부 검출 센서에만 전달된다. 에너지가 작은 베타선은 반도체 자체 소음을 줄인 ... ...
바이러스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9.02
이 같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실험한 결과 박테리오파지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박막
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박테리오파지 표면의 아미노산이 페로보스카이트 표면의 납 이온과 결합해 페로보스카이트의 결정 성장을 ... ...
[과기원은 지금] 슈퍼컴으로 DNA 뭉침·풀림 현상 관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금속을 ‘선택적으로 석출’하는 방법으로 산소가 결핍된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박막
의 전기전도도를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지난달 17일에 공개됐다 ... ...
전기전도성·두께·신축성 세계 최고 수준 나노
박막
전극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박막
전극으로 만든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피부에 부착해 습도, 인장 변형, 온도 등 다양한 자극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과기정 ... 더 조밀한 상태가 된다(C-E). 이후, 용매가 증발하며 얇은 고무막이 남게 되면서 나노
박막
전극이 만들어진다(F). IBS 제공. ... ...
[과학게시판] GIST, 2021학년도 하반기 학위 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안정성이 우수한 에너지 저장소자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0.1mm 이하의 초
박막
형태로 슈퍼커패시터를 제작해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슈퍼커패시터는 단층 그래핀 위에 금속 산화물을 성장시켜 제작했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6월 24일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