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2] "내 몸속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생리의학상에 고유전체학 창시 스반테 페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밝혔다. 페보 소장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은 2008년 러시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멸종
인류 ‘데니소바인’의 DNA를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재조합했다. 러시아 알타이산맥 데니소바 동굴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턱 있는 척추동물 기원, 4억3900만년 전 고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2.10.01
더해진 물고기 등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특히 중국과 베트남 북부에서만 존재했다가
멸종
된 것으로 알려진 턱이 없는 고대 물고기 ‘갈레아스피드’의 전체 몸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약 4억3600만년 전 화석 표분 분석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했다. 머리 쪽에 독특한 방패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 ...
데이터로 생물 다양성 보전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및 아이디어 제안 경연'을 개최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이변과 수많은 생물종이
멸종
위기에 처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숲과나눔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이번 경연에서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에 ... ...
"지구에 개미 2경 마리 서식…1인당 250만 마리 꼴"
연합뉴스
l
2022.09.20
나온 것이라고 WP는 전했다. 실제 지난 2019년의 한 논문은 전체 곤충 종의 40% 이상이
멸종
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다만 개미 역시 줄어들고 있는지 여부는 곤충학자들도 아직 알지 못하며 이번 논문의 연구자들이 답하고 싶어하는 차기 연구 과제라고 WP는 전했다. ... ...
현실판 '아마겟돈'...27일 우주선 '다트' 소행성과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어려워 지구 인근 궤도를 도는 소행성은 지구에 위협적인 존재다. 약 6600만년 전 공룡
멸종
을 유발한 가장 유력한 가설 중 하나도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이다. 충돌로 인한 폭발로 엄청난 먼지가 상층 대기를 뒤덮으며 태양을 가리고 생태계를 붕괴했다는 것이다. 지구까지 거리가 750만km보다 가깝고 ... ...
"공룡
멸종
원인은 대규모 화산 폭발"…'소행성 충돌설'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2.09.14
멸종
원인을 설명하는 다른 모든 이론이 힘을 잃었다"며 "수십 년간의 탐사에도 다른 대
멸종
과 일치하는 유사한 소행성 충돌 사건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 뇌가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위키미디어 제공 현생 인류의
멸종
한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의 뇌와 현대인의 뇌 사이 차이점이 밝혀졌다. 뇌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현대인의 뇌에는 돌연변이 DNA가 있어 인지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빌란트 허트너 독일 ... ...
식물분류학자가 팽나무에 보낸 연애편지
과학동아
l
2022.09.11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는 지구의 46억 년 역사를 시계처럼 두고 생물의 출현과
멸종
시기를 그려보는 거예요. 지구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 그리고 산업혁명 이후 기후변화 패턴을 가늠해보다 보면 인간이 번성한 시간이란 정말 짧죠. 한 종으로서 겸손해지게 돼요. 앞으로 식물을 대할 때 ... ...
공룡
멸종
후 초기 포유류, 고작 4년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있었다. 스티브 브뤼사트 영국 에든버러대 지구과학과 교수는 "6600만 년 전 공룡이
멸종
한 뒤 몇몇 포유류들은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같은 거대 공룡의 생태학적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빠르게 몸집을 키웠다"며 "공룡과 살던 당시 쥐만큼 작았던 포유류 조상이 인간이나 코끼리, 고래 등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까지 재생할 수 있는 '이 생명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우파루파'라는 애칭으로도 잘 알려진 도롱뇽의 일종인 아홀로틀(Ambystoma mexicanum)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마 ... IUCN)이 지정한 위급(CR) 종이다. 2020년에는 멕시코 정부가 아홀로틀을 지폐 모델로 차용해
멸종
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도 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