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초
뉴스
"
말무리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동호 후보자 코끼리열차, 살펴보니 ‘하얀코끼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010년 당시 이끌던 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사업단의 코끼리 열차가 사실 ‘하얀 코끼리’였다는 점검 보고서가 발견됐다. 서울랜드 제공.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010년 당시 이끌던 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사업단이 개발한 코끼리 열차 ... ...
침팬지 사회의 정치학, 美 대선에서도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복잡한 동맹-배반 등 권력투쟁… 높은 곳 올라가 위엄과시 무리장악 美 대선서 키 큰 후보가 표 더 얻어… 트럼프, 영장류 정치수단 덕 ‘톡톡’ 우간다에서 수컷 침팬지의 모습을 찍었다. 경쟁이 심한 수컷 영장류는 인간이 정치에서 보이는 것과 비슷한 권모술수를 쓴다. 국제동물복지기금 제공 ... ...
2% 아쉬운 국내 첫 외국인 대상 천체관측 프로그램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경기도 과천 국립과천좌학관에 참가한 외국인들이 천체투영관에서 겨울철 별자리 해설과 돔영화를 관람하고 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That is the constellation of Orion. You can see the Winter triangle next to it. Can you see? (저기에 보이는 것은 오리온 자리입니다. 바로 옆에 '겨울의 대삼각형' 별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그 많던 히스테리아 환자들은 어디로 갔나
2019.03.10
충격을 받아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것은 전환장애의 특징적인 양상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환장애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과거에 흔히 히스테리아로 불리던 정신장애를 말합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대표작 《히스테리아 연구》의 히스테리아가 바로 전환장애입니 ... ...
[개각] 5G 상용화·과기계 인사 논란 숙제 '수두룩'
2019.03.08
조동호 신임 장관 발탁으로 과기정통부가 마주하고 있는 각종 사안을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당장 발등의 불은 5G 상용화다. 유영민 전 장관 시절 과기정통부는 최우선적인 과제 중 하나로 5G 상용화를 꼽고 올 3월을 목표로 진행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성배 ... ...
천리안2B호·달탐사 연기 불가피…'누리호' 후속모델 공식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우주에서 운용되는 모습의 상상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애초 올해 발사를 앞둔 국산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2B호와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가 줄줄이 내년으로 연기됐다. 정부가 오는 2021년 발사할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코딩 가르쳐 준다면서 왜 컴퓨터를 안켜?” 교육을 시작하며 연습장부터 가져오라는 말에 의아해진 아이의 반응이다. 사실 아이가 집에 올 시간에 맞춰 교육 환경은 만들어 둔 상태였다. TV 앞에 탁상, 탁상 위에 노트북, 그리고 노트북은 HDMI 로 TV와 연결해 보기 편한 큰 화면을 준비했다. 아직 ... ...
눈깜빡임의 비밀…뇌 리셋·커뮤니케이션 연관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눈 보호 기능 외 다양한 역할 가능성 언어화 할 수 없는 대화의 흐름·리듬 파악 인공지능 연구 실마리 성인은 1분에 약 20회, 하루 1만5천회 정도 눈을 깜빡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깜빡일 때 마다 눈물이 분비돼 강한 빛과 먼지, 티끌 등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눈 깜빡임은 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이솝우화에서 다리 위를 지나가던 개가 물고 있던 고깃덩어리를 떨어뜨린 건 개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라고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가 발견하는 인지능력은 모두 다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되고 더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 프란스 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생물 다양성은 대사 다양성이다."(허먼 폰처 미국 듀크대 교수) 최근 미국 뉴욕시립대 생물학자 네이선 렌츠 교수의 책 ‘우리 몸 오류 보고서’를 재미있게 읽었다. 우리 몸에는 진화과정에서 일어난 온갖 결함들이 산재해 있어서 번거로움과 질병을 일으킨다는 내용이다. 책의 2장 ‘부실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