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악취
방향
혹취
내음
향
냄새감각
뉴스
"
냄새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개미는 다른 곤충들과 비교해 좋은 후각을 가지고 있다. 나방은 52개, 초파리는 61개의
냄새
수용체를 가진 반면 개미는 400개를 가졌다. 이는 사람과 비슷한 수준이다. 사람은 390개 정도를 가지고 있다. 개미는 감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도 실천한다. 로렌트 켈러 스위스 로잔대 ... ...
여름철 골칫거리 녹조, 재래 정수시설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이번에 개발한 분말활성탄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개발한 분말활성탄이 녹조가 유발하는
냄새
물질과 독성물질을 흡착하는 속도가 물질별로 최소 20%에서 최대 150% 늘어나는 사실을 확인했다. 송경근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분말활성탄은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녹조 유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포자가 분말이나 스프레이로 퍼질 수도 있고 물이나 음식 속에도 들어갈 수 있으며
냄새
나 맛도 없어 감지하기 어렵다. 탄저균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지난 2015년 미군 연구소가 살아있는 탄저균을 주한미군에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 배송은 미국의 유명한 택배회사인 페덱스의 일반화물로 ... ...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전송되고 있다. 유튜브 캡처 이날 시연회에서는 거투르드가 주둥이를 통해 사물의
냄새
를 킁킁거리며 맡자 뇌 속에 전달된 신호가 그대로 컴퓨터에 전송되는 모습이 공개됐다. 돼지가 사물을 판단할 때 쓰는 주둥이는 뇌와 많은 신경으로 연결된 부위다. 뉴럴링크가 지난해 처음 공개했던 칩의 ... ...
중국·캐나다에서도 아파트 동시감염 사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퀸즐랜드공대 국제공기질연구소장은 "배수관에 물이 없으면 가끔
냄새
가 올라온다"며 "
냄새
가 난다는 것은 공기가 이동을 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학자들은 '비정상적인 상황'을 조사해야한다"며 "이유을 이해하는 순간 '비정상이 아닌 상황'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진단하기 위해 소변 시료를 담을 플라스크를 갖고 다녔다고 한다. 소변의 색과 투명도,
냄새
, 맛, 거품 정도는 몸 상태를 반영하는 거울이었다. 서기 1세기에 활약한 의사 카파도키아의 아레테우스는 오줌의 맛이 달짝지근한 게 주요 특징인 대사질환에 ‘당뇨병(diabetes)’이라는 병명을 붙여주기도 ... ...
메뚜기떼 습격 막을 길 열렸다..."핵심은 체취"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분비가 되고 결국 떼를 이룬다. 연구팀은 '4-비니아니솔이(4-VA)’라는 달콤한
냄새
를 내는 유기 화합물이 다른 메뚜기를 유인하는데 활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화합물을 접한 메뚜기들은 수명과 성별에 상관없이 강력하게 이끌리는 행동을 보였다. 연구팀은 4-VA 물질로 메뚜기떼를 ... ...
미국 첫 얼굴 전체 이식 여성 12년만에 사망
연합뉴스
l
2020.08.03
010년 얼굴을 기증한 여성의 가족을 만나기도 했다. 당시 컬프는 CNN과 인터뷰에서 "이제
냄새
를 맡을 수 있어 행복하다"며 "이제는 스테이크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딱딱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됐다"고 기뻐했다. 컬프는 자신의 경험을 전달하며 장기 기증의 전도사로 강연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좀비 떼를 피하는 데 성공한다. 영화에서는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돼 좀비가 되면
냄새
를 못 맡는 것으로 묘사한다. 좀비는 눈으로 생명체를 보거나 생명체의 소리를 들어야만 공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좀비 바이러스가 뇌에 침투한 뒤 후각신경만 파괴하고 시신경과 청신경을 보존하는 ... ...
“日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코로나19 공기 감염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감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태의 작은 입자는 호흡할 때
냄새
를 맡을 수 있는 범위를 넘어 더 먼 거리에서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론도 존재한다. 조지 러더포드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UC샌프란시스코) 역학과 교수는 “대다수 전파는 비교적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