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활용
반사
끝바꿈
어미변화
대기차
어형 변화
뉴스
"
굴절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얼굴’의 빛, 세계 최초로 포착
2015.03.03
파동성이란 19세기에 확인된 빛의 특징으로 물결처럼 진동하면서 장애물을 만나면
굴절
되는 등의 특징을 말한다. 그런데 20세기 들어 아인슈타인이 자외선을 금속에 쪼이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발견하면서 빛이 입자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두 ... ...
태양전지에 투명물질 코팅했더니 효율 2배 ↑
2015.02.02
왔다. 김 교수는 “안경렌즈를 투명한 소재로 코팅하는 것처럼 나노선 겉에 빛을
굴절
시킬 수 있는 균일한 층을 하나 더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노선 태양전지 위에 질화규소 층을 코팅한 모습(왼쪽). 질화규소 층을 입힌 나노선 태양전지는 광전류가 80% 정도 증가했다(오른쪽).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사물을 볼 수 있다. 현대 의학기술의 발달로 많은 안과 질환이 해결됐다. 수정체의
굴절
률이 떨어진 사람은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고, 백내장 같은 질환은 인공 수정체를 삽입해 치료한다. 최근에는 다른 사람의 각막을 이식 받아야만 해결할 수 있었던 각막도 폴리머 소재로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변신 렌즈의 모습. 전기가 흐르면 렌즈의 굴곡이 변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17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한 연구실. 연구원이 전압을 바꾸자 지름 1cm도 안 되는 작고 둥근 투명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 ... ...
600V 강력한 전기 파워, 뱀장어의 사냥법
2014.12.07
담을 수 있는 촬영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실제로 레이저 빛의 반사와
굴절
, 광자의 전달, 비정보성 전파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는 나노 초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난 현상은 1차원으로 밖에 촬영하지 못했다. 따라서 2차원 이미지를 얻으려면 전체 장면을 차례대로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놓으면 투명망토 효과가 바로 사라진다. 그간 투명망토 연구는 자연계에는 없는 ‘음의
굴절
률’을 가진 메타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메타물질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망토 효과를 내려면 10nm(나노미터) 크기의 극도로 작은 나노 구조물로 된 메타물질을 만들어야 하는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력렌즈 효과는 중력 때문에 빛이 직진하지 못하고
굴절
하는 현상을 말한다. 블랙홀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빛나는 띠도 물질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웜홀은 우주의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손 교수는 1988년 회전하는 거대 ... ...
도시에 뜨는 별은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5.22
비싸고 망원경이 길어 아마추어 천문인들이 보유하기 쉽지 않다. 이에 과학동아천문대의
굴절
망원경이 폴라리스 학생들에게 천군만마가 되어준 셈이다. 또한 접근성이 좋은 도심 천문대답게 학생들은 공강시간을 활용해 태양 관측을 하기도 했는데, 여기에는 과학동아천문대가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
채널A
l
2014.04.10
그러나 난관도 많습니다. [인터뷰 : 변성훈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임연구원] 바닷물의
굴절
등으로 신호 특성이 수시로 바뀌는데, 이런 왜곡된 신호를 잡아서 우리가 찾고 있던 신호인지 분별해낼 수 있는 신호처리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각국의 첨단 장비들이 이런 난관을 4일 내에 극복하지 ... ...
한반도 바다 밑에 석유가 묻혀 있다고?
과학동아
l
2014.04.08
퇴적층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액체인 석유가 있으면 고체인 땅 부분과의 경계면에서
굴절
이 생겨 음파장치가 이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음파를 통해 구현한 군산분지 '까치-1' 지역의 모습 - 유인창 교수 제공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이 기술을 이용해 석유탐사를 해 왔다. 그동안 정확도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