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단함
굳음
견실
견실함
건전
경도
뉴스
"
견고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무기 나노입자 표면 사이의 결합력을 이용한 덕분에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과도
견고
하게 결합시킬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나노복합체를 반복적으로 쌓아 에너지 저장장치로 쓰이는 슈퍼커패시터 전극을 만들었다. 이 전극은 기존 전극보다 에너지 저장능력이 2배 이상 높았으며 100 ... ...
쥐 세포나 코끼리 세포나 평균크기는 0.001mm
2014.12.08
중력을 가하자 액틴 그물로 된 세포핵이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내렸다. 녹색이 자기장을 걸기 전 세포핵의 모양이며, 붉은색이 자기장을 건후 망가진 ... 구조가 부서지지 않도록 지질해줄 뿐 아니라 세포핵이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연성과
견고
함도 함께 책임지고 있다”고 말했다.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부서지지 않는 우주탐사선을 만들 수가 없다. 최근에는 경제성과 경량화, 그리고
견고
함의 삼박자를 갖춘 합금을 개발한 뒤 이런 합금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연구 분야가 인기다. 또 공정에 들어가는 비용을 낮추고 더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파생되고 있다. 이런 연구에서 ... ...
오르락 내리락, 고층빌딩 페인트칠하는 로봇
2014.10.07
위험을 피해 로봇이 직접 페인트 칠을 한다. 돌풍이 불 경우에 대비해 흡입장치로 벽에
견고
하게 매달리는 기능도 갖췄다. 건물 외벽 및 유리 세척 시스템은 개발된 바 있지만 콘크리트 외벽의 페인트 칠과 물청소 작업까지 가능한 시스템은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연구팀은 “자동 ... ...
원자력발전소에 어린이 기자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28
철근콘크리트 외벽 모형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철근을 손에 쥐어보면서 엄청난 두께와
견고
함을 체감했다.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양식장.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독특한 양식장에도 가보았다. 발전기를 돌리고 배출되는 뜨거운 증기를 식히는 과정에서 생긴 7~8℃의 바닷물로 이뤄진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1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가늘지만 인장력이 강철의 100배에 이를 만큼
견고
하고, 반도체와 같은 특성을 지녀 1991년 처음 발견된 이후 계속 ‘꿈의 소재’로 불려왔다. 그런데 반도체로서의 성질이 불안정하고 기계적인 특성도 예상과 다를 때가 많아 지금까지 실용화가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습관의 힘 아닐까. 오래 된 습관일수록 버리기 어려운 이유도 습관회로가 그만큼 더
견고
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격적인 사건이나 굳은 결심으로 한동안 습관을 끊더라도 약간의 계기(cue)만 있으면 슬그머니 원래 습관으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안 좋은 행동은 습관화가 되지 ... ...
끔찍한 기억 심리치료 아닌 DNA 치료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1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끔찍한 사건을 겪게 되면 시간이 지날 수록 기억이 오히려
견고
해지는 양상 때문에 심리치료는 최근의 기억에 한해서 효과가 있다는 게 한계가 있다. 그런데 미국 연구진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약물을 이용해 DNA 전사 과정을 조절, 오래된 나쁜 기억을 없애는 ... ...
돌을 떡 다루듯 다룬 백제인의 솜씨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우리나라뿐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인 석재라고 볼 수 있는 화강암 같은
견고
한 돌로 탑을 만들기 위해서는 목탑에서는 시도하지 않던 다른 기술도 요청된다. 목탑은 나무와 기와로 이루어졌으므로 건축적인 기술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단단한 돌로 탑을 쌓기 위해서는 건축적인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학자가 노벨 물리학상까지 거머쥐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그래핀의 구조가 워낙
견고
해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를 통과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하지만 한양대 연구진이 그래핀 다섯 층을 새로운 방식으로 쌓아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분리막, 즉 필터를 만들어 냈습니다. 필터의 두께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