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외
자생
어린이과학동아
"
야생
"(으)로 총 696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생
뱀 [프롤로그]
포스팅
l
20211225
[이번 등장인물] 로라 : 붉은색과 초록색이 섞인 줄무늬를 가진 뱀. 회색 눈을 지녔다. 크리스 : 로라의 어미. 딸과 같은 줄무늬를 지녔다. 붉은 눈을 가지고 있다. "괜찮아 우리 딸~ 괜찮을 거야." 얼룩무늬 뱀이 말했다. 그런데도 그녀의 품에 안겨 있는 아기 뱀은 계속 고개를 흔들었다. "무서워하지 마. 엄마는 네 곁에 있어. ...
표지 만들어주세요~ (마감)
포스팅
l
20211225
소설표지 부탁드려요. 선착 1분입니다. 표지 해주시면 포방(못할수도 있습니다.) 1달 해드립니다. 세부 정보 [배경 : 피가 묻은 숲 바닥(좀 까다로우시면 그냥 풀만 대충 그려주셔도 됩니다.)] [제목 :
야생
뱀] [글씨체 : 마음대로] [추가 : 너무 무섭지 않도록. (공포소설은 아니거든요.)] [제목 위치 : 가운데, 아니면 맨 위] ...
만약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떻게 될까?
기사
l
20211216
환경이 될 것입니다. 한반도도 당연히 농작물 피해를 보게 됨으로써, 살아나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진 출처: [원주]
야생
동물 습격 원주 농작물 피해 4만㎡ : 네이버 뉴스 (naver.com)) 이번 기사에서는 백두산이 폭발하게 될지, 폭발하게 된다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디 알아보았는데요, 백두산은 우리가 살아있는 동 ...
세상에서 가장 신기하게 생긴 과일밎 열매 Top 7!
기사
l
20211206
빨간 과육이 있는 적용과를 추천드립니다! (물에젖은 스트로품맛 이라고도 하네요) Top6, 으름 (출처:https://ykw5520.tistory.com/401)
야생
과일의 일종인 으름은 산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다른말로는 으름덩쿨, 어름이라고도 하며 덩쿨은 약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생김새가 특이한 과일은 보기 드물다고 생각했는 ...
guest - 211129 - 1
탐사기록
l
20211129
2021. 11. 27. 우포늪 우포늪에서 따오기를 보고 왔습니다. 과거에 많았다고 알려진 따오기 입니다. 1979년 판문점에서 발견된 개체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새였습니다. 그러나 2008년 중국으로 부터 따오기를 들여온 뒤 2019년부터
야생
방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개체수가 많진 않지만 언제가 옛날처럼 따오기 ...
나도 키울수 있다! 파이어스킨크 키우기
기사
l
20211125
296397234 이렇게 새로운 인기 도마뱀 파이어스킨크 키우는 법의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주의사항으로 펫샵에서 파는 파이어스킨크는 거의
야생
채집개체이므로 기생충 제거는 필수입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
바나나는 씨가 없는데 어떻게 재배할까?
기사
l
20211125
흡아가 10개 정도 자라납니다. 그리고 이 흡아로 바나나를 재배합니다. 물론,식용이 아닌
야생
바나나는 씨가 있습니다. 식용 바나나는
야생
바나나 중에서 씨가 없는 돌연변이를 식용으로 재배합니다. 그러나,바나나의 흡아 재배에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 문제점은 바나나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입니다. 따라서 질병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
기사
l
20211117
머무름 시간을 조사해서 어느 장소에 어느 종류의 충전기가 맞는지를 찾기 위한 연구였습니다. 시민과학풀씨 2부 세션의 첫 순서는
야생
조류 유리창 충돌 모니터링 연구를 주제로 연구한 버드히어로팀이었습니다. 버드히어로팀은 시상식에서 장려상을 타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연구원님들과 시민과학자들의 기록을 토대로 새들이 죽어 있는 유리창에 어떤 ...
3~5년에 한 번 피고 이틀 뒤 지는 꽃이 있다고??
기사
l
20211113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신기한 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고 하네요ㅠㅠ 시체꽃은 인도네시아의 섬에서만 볼 수 있었던 식물인데요.
야생
에서는 시체꽃이 1천 그루도 남지 않았다고 하네요. 그래서 세계 곳곳의 식물원이 시체꽃을 키우며 시체꽃의 수를 늘리려 하고 있답니다. 참 다행이네요^^ 우리나라에도 서울대공원 등에서 시체꽃을 만나볼 수 있다고 하네 ...
충우곤충박물관에 가다!!
기사
l
20211113
충우곤충박물관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자웅모자이크 아틀라스 장수풍뎅이 입니다. 이 자웅모자이크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야생
에서 발견된 개체라 제가 충우곤충박물관에서 가장 좋아하는 표본입니다. 이 표본은 약 2000만원으로 거래됐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하늘소인 타이탄하늘소 입니다. 수컷중에는 20mm개체도 발견되었습니다. 자세한 설명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