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뼈"(으)로 총 5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쿠키런 견과류부녀 긂 완성ㅇ포스팅 l20211217
- ㅈㅔ 긂이 원래 정신이 없어서 스케치 하다 정신없음 어카지 하고 걱정했는데 잘못 생각했네요 생각보다 깔끔해요ㅋㅋ 제가 그린 견과류부녀 중 젤 잘 그린 듯 합니다 네 제 그림 실력에서요 도용퍼가기불법트레 등등의 짓 하시면 뼈 소멸 시켜서 오징어랑 문어랑 친구해드릴 ㄱ(( 예 암튼 개인소장시 댓글 주세요오 +핃백 안 바다용 ...
- 왜 자기가 자신을 간지럽히면 간지럽지 않을까?기사 l20211213
- 간지러운 느낌을 먼저 예상하고 감각 반응을 취소하기 때문이라네요! 역시 뇌는 속일 수가 없네요. 예를 들어 우리가 자신의 갈비뼈 근처를 간질이려고 손라락을 움직일 때 소뇌는 이미 그것이 어떤 느낌일까를 알아채고 감각 반응을 취소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지요. 하지만 다른 사람으로부터 간지럽힘을 당하면 소뇌는 감각 반응을 막아낼 수 없답니다. ...
- 공룡 르네상스 - 골격과 진화에 대하여기사 l20211208
- 공룡 플라테오사우루스, 심지어 용각류들에게도 창사골이 있었다. 그렇다고 여기서 얘네들이 앞다리를 펄럭거리면서 비행하려고 이 뼈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생물의 진화가 늘 그렇듯이, 공룡이 새가 되며 조류가 어쩌다가 창사골을 비행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이후 새와 공룡의 유사성은 100여 가지 이상 발견되었고 사실상 ...
- 공룡에 관한 모든 것 - 1부기사 l20211205
- 공룡의 다리 구조로부터 시작된다. 공룡의 다리는 악어같은 현존 파충류와 달리 1자로 곧게 골반에 붙어 있다. (여기서 골반은 엉덩뼈 부분인데, 이 골반의 생김새로 용반류, 조반류가 나뉜다.) 따라서 악어나 도마뱀처럼 배를 질질 끌며 느긋하게 이동하지 않고 사람처럼 뛰어다니며 사냥했을 것이다.(수각류 기준) 게다가 다리가 몸을 들어올려 폐가 눌리 ...
- [다이노 월드-16] 울트라사우루스! 오해일까, 사실일까?기사 l20211203
- 여기서 울트라사우루스와 브론토사우루스를 헷갈려하시는 분들은 없겠죠? 브론토사우루스는 마쉬가 처음 발견했는데, 마쉬와 코프의 뼈전쟁이 일어나고 있을 당시, 브론토사우루스와 아파토사우루스의 골격이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면서 결국에는 둘 모두 아파토사우루스라고 불리게 됩니다. 그 뒤, 한 박물관이 아파토사우루스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아니면 ...
- [다이노 월드-15] 공룡에 관한 헷갈리는 사실들기사 l20211130
- 수는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뼈가 유실되어 정확한 추정은 불가능하고 여전히 27~100m로 갭이 매우 큽니다. 정확한 암피코일리아스의 뼈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새 공룡으로 인정받을 수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100m는 너무 오버하는 것 같고요, 아마도 35~58m 사이 어딘가가 아닐까 추정할 나름입니다. 참고로 암피코일리아스는 현 ...
- 오오 이거 은근 좋네여...?포스팅 l20211128
- https://www.youtube.com/watch?v=tL_SJmsKcC0 귀차나즘 고려로... 1시간 짜리... 죄송함댜 큼;; 아일랜드라고 독도의 날 기념으로 독도의 날 노래를 뼈까지 뜯어 고친 거라네여(?) 어떤 기자님 추천으로 듣게 됐는데 좋습니다! ...
- 게코스리퍼블릭에 가보았다!기사 l20211127
- 음.. 이 도마뱀은 비어디드래곤이라고 하는데 지금 둘이서 뭘 하고있는 걸까요. 역시 도마뱀들은 일광욕을 좋아한답니다. 그리고 뼈무덤 위에서 잠을 자는 목도리도마뱀! 정말 느긋해 보이지만 곧 보게 될 목도리도마뱀은 아주 활동적입니다! 그리고 여기는 카페라서 음료를 마실 수 있는데요. 저는 뜨거운 밀크티를 주문했습니다. 제가 좀 영국식이라 ...
- 미래의 치료법, 전자약!기사 l20211127
- 전자약은 신경세포나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로 질병을 치료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전자약은 두통, 치매, 우울증, 류머티즘(뼈, 관절, 근육 따위가 단단하게 굳거나 아픈 증상) 등의 신경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할 때 큰 효과를 발휘했다고 합니다. 또 활용 분야가 넓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죠. Photo ⓒ 어린이조선일보 기존의 약물과 ...
-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기사 l20211120
- 구멍이 없기 때문에 공룡이 아니랍니다. 그렇다면 비둘기, 팽귄, 오리의 골반은 어떨까요? 골반에 구멍이 나 있고 이 구멍에 허벅지 뼈가 들어간답니다! 이런 특징은 더욱 공룡과 새 진화설을 뒷받침해주죠. 이제 공룡이 새라는 사실이 믿겨지시나요? 그런데 아주 중요한 새의 특징이 공룡에겐 없답니다. 바로 깃털인데요. 깃털이 없다면 과연 둘이 같다고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