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횡절
교차
가로지르기
d라이브러리
"
횡단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연계작업이 가능하다.현재 국내에서는 도로설계단계에서 컴퓨터에 입력된 평면좌표와 종
횡단
자료를 이용, 현지형을 입체해석 설계방법인 조감도(3-dimension perspective view)로 검토함으로써 도로의 안전성, 주변경관과의 조화여부, 주행의 쾌적성 그리고 환경영향 등을 살필 수 있다. 또 컴퓨터 주행시험 ... ...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따라서 도로를
횡단
하는 보행자들에게 큰 불편을 준다. 사이클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횡단
기회가 한 사이클에 한번씩 밖에 없으므로 보행자들은 꽤 오랫동안 신호등 앞에서 기다리게 된다. 차량소통을 위해 보행자들에게 일방적인 피해를 줄 수는 없으므로 이 단점은 매우 치명적이었다.근래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마자 산산조각으로 분해되어 버릴 것이다.최후로는 외래물질이 존재하고 또 그것으로
횡단
가능한 웜홀을 만들 수 있다고 해도 그 웜홀을 시간구멍으로 바꾸는 것이 불가능할 수가 있다. "당신은 웜홀을 가지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신이 웜홀의 한쪽입구로 들어가려 할 때 당신은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수백만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때만 해도 절멸의 위협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다.동서
횡단
유니언퍼시픽철도가 개통된 후부터 오락스포츠와 발달된 총기류로 인하여 절멸 위기에 도달하게 되었다. 학자들은 들소가 격감된 원인중의 하나로 들소의 우직스러운 천성을 지적한다. 들소는 동료가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있었다. 그러나 당시 이들의 총 신조선 건조능력은 불과 2만t 즉 오늘날 대양을
횡단
하는 일반적인 화물선 한척도 만들 수 없는 매우 작은 규모였다.해방 이후 1950년까지 1백20여군데롤 늘어난 조선공업은 6·25로 인해 부산 이외 지역의 시설들이 대부분 파괴되었다. 그 후 복구작업과 6·25 당시의 ... ...
귀소하는 거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해변에서 번식하고 매해 연말쯤에는 무언가에 이끌리듯 동쪽으로 향한다. 대서양을
횡단
, 두달이나 여행을 한다. 그들은 마침내 브라질에서 1천2백마일이나 떨어진 대서양 중간의 작은 땅덩어리인 아센션섬의 해안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둥지를 만들고 번식하며 다시 브라질로 돌아가서(또 두달에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부설하는 배로 쓰여지다가 1891년 완전히 해체되고 말았다. 당시 각광을 받던 대서양
횡단
일류 여객선들이 대개 3천~4천t이었는데, 그레이트 이스턴호는 길이가 2배 톤수가 6배나 되는 거선이었으니 그 운용(運用)이 매우 힘들어 상선으로서 실패한 것이다. 그후 이만큼 큰 여객선은 20세기 초엽에 ... ...
PARTⅠ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것일까.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거대(巨大)공학 연구그룹은 미국 대륙을 21분만에
횡단
하는 극초음속 지하철을 만들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중이다. 시속은 자그만치 2만2천5백km. 마하88(340m/sec인 소리의 속도가 마하1)인 셈이다. 현재 운행중인 뉴욕과 로스앤젤레스간의 여객기(5시간소요)와 ... ...
전국 순환 초고속전철 제안한 김영구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낙후, 관심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14년 후인 69년에 2백여페이지에 달하는 '동서
횡단
전기철도 건설계획서'를 완성했고 70년에 정부의 건설승인까지 났으나 시작하려는 순간에 풍한방직이 부도가 나고 말았읍니다. 전력을 쏟다가 마지막에 기력이 쇠한 셈이지요.아무튼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 ...
기구(氣球)여행 -더블이글호(후편)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났으나, 그것이 개짖는 소리임을 아는데는 조금 시간이 걸렸다. 그들은 결국 대서양을
횡단
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러나 이 성공을 완전한 것으로 만들려면 유럽대륙에 착륙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영국의 몇천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도시의 하늘을 끝없이 우아하게 떠내려가는 기구를 우러러보았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