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 “좋은 일이 생길 거예요” 큰 귀 토끼 ‘베니’ 구작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셈이에요. Q평소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는 편인가요?아이디어는 일부러 만들려고
하기
보다는 어느 날 번뜩 떠오르는 편이에요. 영화를 보다가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나눠야겠다!’라는 생각이 떠오르죠. 혹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다 떠오르기도 해요. 아이디어는 제가 평소에 지니고 있는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같은 연결 부위에 끼우는 얇은 판으로, 움직임이나 진동 때문에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
하기
도 하죠. 완성된 귀뚜라미 로봇은 8개의 긴 다리로 왼쪽과 오른쪽을 차례로 딛으며 앞으로 나갑니다. 울퉁불퉁한 지형을 지나가도 4개 이상의 다리가 땅에 닿아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걸어갈 수 있지요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확인해 보니 영국 런던에 도착
하기
까지 1시간이 남았네요. 저는 지금 교환학생 생활을
하기
위해 영국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2022년에 전산학과에서 수학과로 전과했어요. 더 깊은 수학과 철학의 세계를 만나보고 싶었거든요. 우선 역사적으로 수학과 철학이 함께 발전해온 영국에서 교환학생으로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군대 하나하나를 모자이크처럼 어디에 붙여도 운용되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구현
하기
위해서는 AI의 분석과 판단이 필수입니다. 영화 정이가 보여주는 디스토피아는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전 세계적인 권력 경쟁 속에서도 ‘속도’만을 강조하지 않고 ‘윤리’를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죠. ... ...
[시민과학콘]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주세요. 직접 찍은 생물종 사진과 데이터를 팝콘플래닛 앱에 기록해 주세요. 4 수료
하기
3종 이상 탐사를 수료하면 탐사활동 인증서와 기념품을 받아요. 내가 올린 데이터는 과학자의 연구자료로 사용돼요. ★팝콘플래닛 앱을 통해 지구사랑탐사대 주요 일정이 공지되니 반드시 앱을 설치해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2014년 8월 13일 서울 코엑스. 전 세계에서 온 수학자 5000여 명의 뜨거운 박수를 받으며 세계수학자대회(ICM)의 개막식이 열렸습니다. 4년마다 진행돼 ‘수학 올림픽’이라 ... 이끈 사람이에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와 함께 본인 연구를 주제로 패션쇼를
하기
도 했어요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좁히는 것이다. 스타트렉의 워프엔진과 같은 전략이다. 이 과정을 물리학적으로 구현
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음수라 서로를 밀어내는 특성을 가진 ‘별난 물질’이 필수다. 스타트렉에선 물질-반물질의 반응이나 초소형 블랙홀을 이용해 공간을 수축할 에너지를 얻는다는 설정이다. 한편 게임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식물들의 성장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죠. 식물의 입장에서 이산화탄소는 일종의 ‘먹거리’인 셈입니다. 이런 내용은 판도라의 울창한 열대우림과 일치하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베츠 박사는 식물의 빠른 성장이 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다다라 푸드 파이터의 부푼 배처럼 태양은 그 크기를 잠시 유지하더니 빠르게 수축
하기
시작했다. 핍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싸구려 선글라스를 내던져 버리고는 태양을 마주보았다. 너무 눈이 부셔서 화성이 먹혔는지 아닌지 도저히 알 수가 없었다. 사람들은 태양의 마지막 모습을 보며 탄성을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때문이다. 또 앞서 밝힌 것처럼 대부분 이 영점이 없다고 보고 있지만, 이 문제를 증명
하기
워낙 어려워 기존에 이렇다 할 연구 결과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장 교수의 이번 결과가 맞는다면 이것만으로도 큰 성과라 평가받고 있다. 이유 ❷ 이탕 장이니까 장 교수가 좋은 결과를 냈을 거라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