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팀"(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웬디 카드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쾅! 서울 하늘에서 굉음과 함께 한 줄기 빛이 눈부시게 빛났다.빛의 정체는 17m 크기의 소행성.소행성은 공중에서 산산이 조각나며 운석우를 내렸다.도로와 건물이 파손되 ... 충돌을 막는 수학자Part2.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Part3.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금속의 탄성변형 한계를 2.5%까지 끌어올린 Ti-12Ta-9Nb-3V-6Zr-1.5O 합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티타늄(Ti) 금속에 여러 가지 원소를 혼합했다. 티타늄 금속 원소가 줄지어있어야 할 자리에 탄탈럼(Ta), 나이오븀(Nb), 바나듐(V), 지르코늄(Zr), 산소(O) 원소를 끼워 넣은 것이다(각 원소 앞에 쓰인 숫자는 원자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필름’은 2022년 11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으로 열린 ‘2022 산학협력 EXPO’ 학생창업유망팀 300 제품전시회에서 인기상을 차지했다. 이런 연구결과물은 다시 학부생을 가르치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조영태 교수는 “학부생 입장에선 지금 배우는 기초 교육 내용이 응용되면 저런 성과를 낼 수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2022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진행됐어요.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기록을 올려 ‘천 번의 탐사 상’을 받은 온새미로 팀의 정인혁 대원은 “천 개를 채우려고 한 건 아닌데 열심히 하다 보니 천 개가 돼 신기하다”고 말했지요.2012년 수원청개구리 연구에 참여했던 중국 난징임업대학교 아마엘 볼체 교수는 이날 행사에 방문해 ... ...
- [멍냥과학] 스트레스 받았다고? 개들은 냄새로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했어요. 개들은 총 720번 중 약 94%인 675번이나 스트레스 샘플을 정확히 골라냈습니다.연구팀은 “개들이 후각으로 불안이나 공황 발작,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는 사람들의 체취를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환자들이 급격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훈련된 개들이 정서적으로 ... ...
- [우동수비대] 행복한 동물원 만들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지난 11월부터 동물들이 행복한 동물원을 만드는 우동수비대 3기 활동이 시작됐어요. 57팀 190명의 대원이 부지런히 조사를 시작했지요. 우동수 대원들은 어떤 동물을 조사했을까요? 금강앵무이지우 대원서울 모 동물원 동물이 실내에 살고 있나요, 실외에 살고 있나요? 실내동물사의 바닥에 ... ...
- [지구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보니 가을이 한층 더 깊게 느껴져요! 단풍탐사민시원 대원 푸른물초록지구 팀탐사 생물 벚나무발견 위치 전남 영암군 하정주 매니저벚나무는 봄에 피는 벚꽃뿐만 아니라 가을 단풍도 참 아름다워요 ... ...
-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띠게 하는 색소로, 방사선을 흡수해 유전자 변형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연구팀은 사고 당시 멜라닌이 풍부한 검은 청개구리들이 방사선의 영향을 덜 받아 더 많이 살아남았고, 까만 청개구리들이 번식한 결과 현재 개체수가 늘어났다는 결론을 내렸죠. 부라코 연구원은 “핵폐기물 관리 및 우주 ... ...
- [AAAS 2022 카블리 과학 저널리즘상] 우동수비대 이다솔 기자 국제 과학언론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의 이다솔 기자가 우리동네 동물원 수비대(우동 수비대) 기사로 전 세계 과학 언론인을 대상으로 하는 2022 AAAS 카블리 과학 저 ... 든든한 버팀목인 마승애 수의사와 최태규 수의사, 데이터 수집 플랫폼을 만들어준 개발팀 동료와 회사에 감사를 전한다”라고 말했습니다 ... ...
- [기획] 게임을 가르치다! 미니 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속의 뇌’라는 의미로 이를 ‘디시브레인(Dish+Brain)’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연구팀은 미니 뇌(뇌세포들)가 퐁 게임을 할 수 있게 컴퓨터와 연결했어요. 그리고 전극으로 전기 신호를 줘 미니 뇌를 학습시켰지요. 예를 들어 화면 속 막대기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공을 쳐야 할 경우에는 오른쪽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