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튜브"(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렇게 말했다.“무기 재료와 유기 재료는 반도체, 자성체, 이차전지, 형광체, 탄소나노튜브, 합성수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무기물과 유기물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가 무기물과 유기물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동안 나타나지 않던 제3의 놀라운 특성을 나타낼 수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것이다.고온의 플라스마와 고에너지 레이저로 적의 화기를 막고 최종적으로 탄소나노튜브로 걸러낸다면 거의 모든 공격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보호막으로 막을 수 없는 것이 남아있다. 바로 레이저 공격이다. 미래에는 레이저 공격이 빈번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대비가 돼 있어야 ...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섬유는 탄소나노 튜브를 수억 개 꼬아 만들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세다. 탄소 나노 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이 서로 연결 돼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 강도가 철보다 100배나 뛰어나다.이 접착물질로 만든 스파이더맨의 장갑과 장화는 약 1000kg까지 지탱할 수 있다. 다만 도마뱀과 ...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남승훈 책임연구원팀은 두께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탄소나노튜브 실을 개발했는데, 강도가 강철의 100배 정도 높다. 케블라로 만든 방탄복보다 20배 더 튼튼하거나, 혹은 20배 더 가벼운 방탄복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더구나 이 소재는 적의 화염공격에도 견딜 수 있다 ... ...
- 재료공학과학동아 l2012년 08호
- 0억분의 1) 크기에서 거시적인 성질과 다른 성질을 나타냄을 이용해 철보다 강한 탄소나노튜브나 꿈의 신소재 그래핀 등 기존에 있던 재료를 뛰어넘는 신소재를 연구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모든 공학 분야가 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때문에 재료공학 전공자를 원하는 곳은 많다. 제철, 반도체, 전자, ...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때마다 고마워해야 할지도 모른다.[거미줄의 나노 구조 배열을 모방해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네트워크로 결합시켰다. 그래핀 섬유의 표면.]7 딱정벌레-도마뱀-잠자리누구 접착제가 가장 강할까생체모방공학으로 탄생한 아이디어 중 일상생활에서 가장 접하기 쉬운 것은 ‘찍찍이’라고 불리는 ...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잘 착륙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도착할 곳을 정확히 계산해 그 위치에 그물이나 공기 튜브를 깔아놓아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돕는다.대포로 쏘아올린 포탄이 도착하는 지점(탄착점)을 구하기 위해서는 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발사각도, 중력과 같은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에 지형, 대기 ...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사이가 멀어진 거리는 0.002nm. 그런데 0.002nm라는 미세한 변화를 어떻게 촬영하죠? 탄소나노튜브가 자라나는 첫 번째 씬을 촬영할 때 사용한 투과전자현미경의 해상도는 최대 1nm 수준. 로맨스 영화의 생명은 ‘위기와 불화’인데 이대로 포기해야만 할까요?이별 통해 이별 돌아보기그런데 왜 앨리스와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레이저를 쏴 왕복시킨 뒤 양쪽의 오차를 잰다. 만약 중력파가 지나갔다면 두 개의 진공튜브 사이의 거울 거리가 미세하게(원자핵 지름의 1000분의 1) 변화한다. 이 변화를 측정해 분석하면 중력파 여부를 알 수 있다.기체에만 예민한 것이 아니다. 라이고는 땅의 흔들림에도 민감하다. 이형목 서울대 ... ...
- 기름 먹는 신소재, 원유 유출 해결책 될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미국 라이스대 재료기계공학과 다니엘 하심 박사팀은 탄소나노튜브(CNT)를 만들 때 미량의 붕소를 넣어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나 많은 기름을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가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13일자에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