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칸"(으)로 총 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픽셀의 첫 번째 칸부터 시작해 특정 크기의 사각형 영역을 잡았을 때 맨 오른쪽 아래 칸에 그 영역에 있는 수들의 합을 미리 계산(❶)해서 써놓은 숫자표지요. 인테그랄 이미지를 이용하면 하르가 돌아다니며 계산할 때 계산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❷). 얼굴 찾는 기술, 발전 가능성도 무궁무진 이 ...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밀린코비치 교수는 제 피부에 있는 비늘 하나하나를 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때 칸의 상태는 초록색, 검정색 두 가지로 나뉘죠. 제 피부를 보면 보통 초록색 비늘 1개의 주변에 검정색 비늘 4개가 있습니다. 반대로 검정색 비늘 1개의 주변에는 초록색 비늘 3개가 나타나죠. 이런 결과가나오도록 ...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원리’ 였던 건 아닙니다. 1834년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사각형 칸으로 이뤄진 서랍장에 진주를 하나씩 채우는 방법을 떠올려 ‘서랍 원리’라고 이름 지었어요. 그런데 이 원리가 유럽으로 퍼지는 과정에서 서랍장이 비둘기집과 비슷해 사람들은 점차 비둘기집의 원리라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보라의 4가지 중 원하는 색깔 블록을 나눠 가져요. 그 후, 보드 중앙 블록과 같은 색의 칸에 블록을 한 개씩 올려요. 그리고 돌아가며 블록 두 개와 액션 주사위를 함께 던져요. 블록을 놓는 액션에 당첨되면, 함께 던진 블록 두 개를 원하는 곳에 놓고 길을 이어주면 된답니다. 블록에는 여러 모양의 ... ...
- 강원 산불을 키운 범인은?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정해지는 것이다. 나무의 종류에 따라서도 산불 확산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칸에 있는 나무가 불이 안 붙는 나무라면 확률값이 0, 불이 너무나 쉽게 붙는 나무라면 확률값이 1이 되는 식이다. 이번에 산불이 난 강원도 산간 지역에는 침엽수인 소나무가 많다. 소나무의 송진 가루는 ...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계속 써나가는 거예요. 만약 규칙에 어긋나는 지점이 생기면 틀리지 않은 지점까지 한 칸씩 거슬러 올라가며 해를 재탐색하죠. 이런 방법을 ‘백트래킹 알고리듬’이라고 하는데 ‘백트래킹’이라는 용어는 미국 수학자인 데릭 헨리 레머가 1950년대에 처음으로 사용한 뒤 컴퓨터 과학에 널리 쓰이게 ...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표시한다.*에카(eka) : ‘1’이라는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멘델레예프는 특정 원소의 한 칸 밑에 오는 미발견 원소에 ‘에카’를 붙여 임시 이름을 만들었다 ... ...
-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 사각 칸에 일렬로 채워진 주기율표의 디자인이 너무 밋밋했나요? 원소 기호만 잔뜩 들어 있어 보기에 너무 답답했나요? 주기율표는 왜 항상 표로만 나타내는지 궁금했나요? 이런 생각을 한 번이라도 했다면 당신은 나만의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색 필름을 부착해 새롭게 장식했다. 판유리 3528개 중 1472개에 색을 입혔고, 줄마다 6번째 칸에는 뷔렌 특유의 흰 줄무늬가 땅과 수직을 이루도록 붙였다. 이로써 관람객들은 구역에 따라, 또 내외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공간을 감상할 수 있고, 동일한 공간에서도 시간과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른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소수 등의 유리수도 ‘모눈종이 9칸 중에서 2칸을 색칠한 숫자’, ‘막대기를 7등분하고 3칸을 칠한 숫자’로 표현합니다. 실제 의미의 ‘유리수’가 아닌 자연수를 도구로 실험해서 만들어낸 수가 되는 거지요. 반면 중학교 수학은 본격적으로 수를 양이 아닌 수 자체로 배우기 시작합니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