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4색 정리를 증명했다’라는 식의 엉터리 이메일을 받기도 하니까요. 그때까지 지도교수도 정해지지 않은 박사과정 학생이 조합론 분야의 오래된 미해결 문제를 해결했다고 하니 믿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논문도 전달받았는데 공저자도 없고, 학술지에 보내기도 전이라 추측을 푼 게 맞는 건지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키이우 태생의 수학자로, 2013년 독일 본대학교에서 돈 재기어 교수와 베르네 뮐러 교수 지도 아래 ‘보형 형식’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보형 형식이란 보형성이라고 부르는 복잡한 대칭성을 만족하는 주기함수로,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의 ‘페르마의 마지막 ... ...
- 개나리데이 결과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의 첫 공식 활동, 개나리데이 미션이 3월 19일부터 29일까지 이루어졌어요. 대원들은 개나리의 개화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 총 ... 통해 지역마다 꽃이 핀 시기가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 전국 방방곡곡 핀 개나리 지도 함께 보아요~ ... ...
- [특집] 미래에서 기다릴게, 황금책!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실감서재’라는 체험형 도서관이 있어요. 직접 만져볼 수 없는 조선시대 지도를 선명한 화면으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또, 손을 대면 책 속 그림이 마법 책처럼 움직이고 한문이 한글로 번역되는 디지털 책도 볼 수 있지요. 실감서재 속 VR 도서관에서는 특수 기기를 머리에 쓰면 내가 원하는 가상 ...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눈여겨보았습니다. 그 인연이 이어져 학부 3학년 이후 석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5년간 지도교수를 맡게 되었습니다. 허 교수는 2007년 수리과학부 석사과정에 입학해 대수기하학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때 즈음 서울대에서 세계적 석학을 초청하는 사업을 시작했고, 1970년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것이 편리한데요. 각 나라를 점으로 표현하고, 두 나라가 인접하면 변으로 연결해 지도마다 그래프 하나를 얻습니다. 4색 정리에 자극을 받아 1932년 조지 벌코프와 해슬러 휘트니는 ‘채색 다항식’이라는 함수를 정의합니다. 채색 다항식이란 어떤 그래프에서 이웃한 꼭짓점은 서로 다른 색이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올지 모르는 것입니다. 대학에서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그를 3학년 때부터 지도교수 역할로 끌어주고 수학으로 전공을 바꾸도록 도와준 김영훈 서울대학교 교수는 멘토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졸업을 앞두고 서울대 석좌교수로 초빙된 히로나카 헤이스케 미국 하버드대학교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때로는 올바른 길로 안내할 때가 있대요. 그의 대학원 지도교수인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교수 또한 2010 필즈상 수상자입니다. 스승에 이어 제자도 수학계의 최고 영예를 누리게 된 셈이지요. 뒤미닐-코팽 교수는 “스미르노프 교수님은 내게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도구가 됐습니다. 메이저 교수는 지금까지 60명에 가까운 박사과정 학생들을 아낌 없이 지도했습니다. 그는 1998년 뛰어난 수학자이자 좋은 멘토로 인정받아 하버드대 대학 특별 교수로 임명받았습니다. 그는 84세의 나이에도 끊임없는 호기심으로 연구에 몰두해 젊은 수학자들의 귀감이 되고 ... ...
-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연구 책임자가 논문이 수정됐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것은 논문 지도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에서 표절을 찾는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윤 교수는 “학술대회 논문은 마감 기한이 촌각을 다투는데다 논문을 받아주는 쪽에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