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지만 HA 줄기는 항체가 결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여서 항체가 생성되더라도 HA 줄기와 결합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 면역력이 생기지 않는다는 한계에 봉착해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면서 만능 백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오늘날 개발되는 코로나19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B림프구의 유전자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어떻게 바뀌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배아줄기세포가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로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글로불린을 형성하는 유전자가 재분배됐다. 또 이 유전자가 재조립되거나 손실을 겪는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이전까지는 생식세포가 아닌 경우 ... ...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할 수 있도록 ‘뱀독 오가노이드 은행’을 만들 계획이야. 50종의 뱀에서 독샘 줄기세포를 채취하고,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얼려두면, 뱀을 잡지 않고도 뱀독을 연구할 수 있겠지? 연구를 이끈 클레버스 그룹 리더는 “앞으로 이 은행을 이용해 뱀독을 해독하기 위한 항체나, 진통제, 고혈압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테라퓨틱스 외에도 표적항암제인 ‘리보세라닙’을 개발한 미국의 엘리바, 인공 간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사인 에이치엘비셀(구 라이프리버) 등 바이오연구기업을 인수했다. 항암제 개발에 주력하기 위해 에이치엘비생명과학(HLB생명과학)도 설립했다. HLB생명과학의 바이오사업본부장이자 HLB의 ... ...
- 오가노이드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손미영 책임 연구원은 장 오가노이드를 예로 들면서 “우리 몸 안에서는 줄기세포가 분화할 때 면역세포나 혈액세포 또는 장내 미생물 등과 소통하는데, 오가노이드를 키울 땐 이 소통이 없는 게 문제”라며 “그래서 다른 세포와 장 세포를 함께 배양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 ...
- 내 이름은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 책임 연구원), 정초록(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 책임 연구원), 성진우(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 연구원), 허동은(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박원정(러쉬코리아 캠페인팀 이사), Christopher Caligiuri(브레인봇 개발자, 미국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매우 복잡하면서 매력적이라고 생각해서예요. 또 과학자들이 이렇게 복잡한 기관을 줄기세포 하나로 만들기 위해 연구 중이란 사실에도 매료됐어요. Q뇌 오가노이드 신호를 로봇에 연결해야겠단 생각은 어떻게 하게 됐나요?사실 뚜렷하게 로봇을 만들어야겠단 아이디어를 갖고 무오트리 교수님께 ... ...
- [부록] 수학자 인 보드 게임 개발자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위상수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그 덕에 점과 선으로 구성된 그래프로 지형 나타내기, 강 줄기 모양으로 가능한 경우의 수 계산하기 등 다양한 수학 논문이 카르카손을 바탕으로 발표됐다. 안내는 끝났다. 이제 당신은 문제를 푸는 것만큼 문제를 만드는 것도 즐거운 과정이라는 사실을 알아챘을 ... ...
- 세계경제포럼에서 한판 붙다! 트럼프 VS. 툰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용은 증가하고, 탄소 배출량과 오염물질도 자연히 늘지요. 반대로 경기가 침체됐을 땐 줄기도 해요. 그래서 탄소 배출량은 나라의 경제 성장률과 비슷한 흐름을 갖는 경우가 많답니다.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은 오랜 시간 충돌해온 문제예요. 전문가들은 이 둘의 대립을 끝내기 위해선 화석연료를 ... ...
- [만화뉴스] 짠 음식 당기는 이유는 세로토닌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실험을 통해 소금 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 신경회로를 발견했다고 지난 11일 밝혔어요. 뇌줄기 속 세로토닌 반응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짠 음식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줄어드는 거예요. 이 신경세포는 세로토닌이 적을 때 활성화되고, 많을 때 활동을 멈추지요. 손종우 교수는 “고혈압, 신부전 등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