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나무로 만든 위성이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가장 높았기 때문이지. 타카오 도이 교수팀은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10cm 정도 되는 작은 실험 위성을 목련 나무로 만들어 보기로 했어. 기존에 알루미늄으로 만들었던 부품들을 모두 목련 나무로 바꾸는 거야. 나무로 만든 위성의 장점은 뭐야? 최근 전 세계 곳곳에서 인공위성과 로켓 발사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자신의 열정을 따라가세요. 용어 설명 *표준모형 :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기본 입자 17개와 이들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모형이다.*우연한 사고 : 입자 물리학에서 가속기 충돌 실험을 하던 중 새로운 종류의 입자를 많이 발견한 것은 물론 이 입자들이 이상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도시인 모나코의 몬테카를로의 이름을 땄어요. 오늘 소개할 체험에선 수십 개의 작은 막대를 여러 번 던져서 나온 데이터를 이용합니다. 신기하게도 이 데이터를 정리하다 보면 π의 근삿값을 구할 수 있어요. 배 교사는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을 방문했을 때 여러 개의 동전을 던져 π의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길러가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연구 과정에서 크고 작은 상처를 받아도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자존감을 키우는 데에도 관심을 두죠. 마지막으로 소통 능력입니다.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이죠. 이 세 능력이 결합할 때 자율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 ...
- [어수티콘 사전] 나머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바꾸어 생각해 봐요. 쿠키 10개에서 3개씩 빼 보는 거예요. 10에서 3을 계속 빼면 3보다 작은 수인 1이 남아요. 1에서는 3을 뺄 수 없지요. 더 이상 나누는 수만큼 뺄 수 없어서 남는 수를 나머지라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1은의 나머지가 되는 것이랍니다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과목을 모두 융합하는, 창의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나왔는데 잘 풀었어요. 영천과 같이 작은 도시에서 과학고를 꿈꾸는 친구도 절대 기죽을 필요가 없어요. 대신 면접 때 왜 과학고에 오고 싶은지, 자신이 과학고에 와서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머리카락 색깔처럼, 인간은 개성있는 모습을 갖는다. 이 개성은 사람들 사이의 작은 유전적 변이로 생긴다. 어떤 변이가 혈액형과 머리카락 색깔 등을 결정하는지 알려면 한 명 분량의 참조 유전체로는 충분하지 않다. 수많은 사람들의 유전체를 분석해서 어디에서 유전자의 변이가 나타나는지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관찰결과,독도에서채집한점 등에모기 샘플은 둥근점등에모기에 비해 작은턱수염 세 번째 마디가 가늘었고, 감각오목도 훨씬 얕았다. 이 연구원은 또한, “결정적으로 곤충의 종 판별에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COI 유 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도 9% 차이를 보여 독도점등에모기 가 신종임을 확신할 수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KAIST 학생동아리 ICISTS 학생들이 함께 준비한 행사입니다. 특히 ICISTS 학생들은 매년 크고 작은 행사를 스스로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죠. 이 중에는 세계 각국의 학생들이 모이는 국제 컨퍼런스도 포함돼 있습니다. 실패학회가 끝난 11월 3일, 이 학생들을 만나 “망한 과제 자랑대회가 망해버렸다면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다는 증거들이 발표되는 족족 모두 반박당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마음 한 구석에 작은 의구심이 들긴 합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과연 우리 하나 뿐일까요. 이번 달 독자기고 주제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선 과학을 좋아하는 편집부와 독자들이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