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새하얀 눈 속, 순록들이 무언가를 열심히 찾고 있다. 지의류다. 순록은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는 유일한 반추동물이다. 눈 덮인 땅에서 순록은 어떻게 먹이를 찾는 걸까. 비결은 자외선(UV)을 보는 눈에 있었다. 너새니얼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생명과학 및 인류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 ...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왕성(Neptune)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넵투누스(Neptunus)’의 이름을 딴 태양계 마지막 행성이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근처를 통과하면서 찍은 해왕성은 그 이름에 걸맞게 깊은 바다처럼 짙푸른색을 띠었다. 그런데 사진이 찍히고 35년이 지난 후인 2024년, 해왕성이 보이저 2호가 찍은 사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023년 12월 4일, 프랑스의 생명공학 스타트업 ‘바이오메모리’가 데이터를 DNA 형태로 저장하는 ‘DNA 카드’를 출시했다. DNA 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 중간에 DNA가 저장된 버튼이 달린 구조다. 총 1KB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격은 1000달러, 한국 돈으로 약 130만 원 정도다. 어떻게 DNA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Man’s best friend).” 영미권에서 개를 칭하는 별명이다. 1만 5000여 년간 개는 주택 경비, 수렵 및 목축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인간을 도왔다. 2024년 현재 이 자리를 로봇 개 4족보행 로봇이 노리고 있다. 인공지능(AI)의 도움으로 더 빠르고, 더 유능해진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챗GPT가 몰고 온 생성 인공지능(AI) 충격파의 위력은 검색 제국 ‘구글’이 휘청할 정도로 엄청나다. 생성 AI의 대표선수로 자리잡은 챗GPT는 기존의 AI 모델과는 비교가 안되는 엄청난 파라미터를 자랑한다. 강력해진 생성 AI가 변호사나 판사 같은 법률 전문가를 대신할 수 있을까. 생성 AI의 성능은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탈모는 안심? 아토피는 주의?” 1월 3일 수요일, 조용하던 과학동아 편집부 사무실 한 구석이 시끌벅적해졌습니다. 과학동아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 종료 20주년을 기념해서 쓴 유전체 특집기사(2023년 12월호)의 이벤트,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과학동아는 일상으로 부쩍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편집자주. 과학동아는 1월호부터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수사기술 연구를 가상사건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사의 마지막 퍼즐을 채우는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시죠.) 가벼운 범죄를 저지른 정신질환자가 다시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그 병을 치료하기 위해 마련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편집자주. 오늘날 생성 인공지능(AI) 시장은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이끌어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스타트업들은 각자 새로운 생존 전략을 고민한다. 생성 AI 상용화라는 마라톤 경기에 피지컬 최강 선수(빅테크 기업)와 피지컬보단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낯선 정적이 감돌았다새들이 모이를 쪼아 먹던 뒷마당은 버림받은 듯 쓸쓸했다. 죽은 듯 고요한 봄이 온 것이다.” 1962년 출간된 ‘침묵의 봄’은 살충제 사용으로 새들이 죽어버려 침묵에 빠진 봄을 형상화하며 전 세계적인 환경 운동을 일으킨 고전이다. 이 책을 지은 레이첼 카슨은 어떤 사람 ... ...
- 1과 1을 모으면 1이 아닌가요? 에디슨의 엉뚱한 질문!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1은? 바로 2이지요. 이 정도는 안다고요? 하지만 전구를 개발한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왜 답이 2인지 궁금했지요. 에디슨은 선생님에게 질문했어요. "찰흙 한 덩이와 다른 한 덩이를 모으면 다시 한 덩이가 돼요. 그럼 1+1은 1이 아닌가요?” 사실 에디슨의 말은 틀렸어요. 찰흙이 합쳐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