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로켓 추진제를 만들고, 추진 시험까지 수행한 아주 참신한 연구입니다. 비록 성능이 일반 추진제보다 좋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재료의 단순함, 재사용 가능성, 친환경성까지 따지면 미래의 우주 추진제로 장점이 충분한 발상임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논문이 나온 지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후속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출처는 검색으로 몇 분 만에 해결할 수 있어요. 전민성 일반 사람이 이용하면 거짓 정보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셨는데요. 이는 인터넷도 가지는 단점인데요. 인터넷과 달리 챗GPT가 가지는 두드러지는 단점이 있을까요? 최수현 두드러지는 단점이 당연히 있어요.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프린터는 단백질과 지방층을 각각 압출해 둘을 균형 있게 쌓아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고기 스테이크와 훨씬 비슷한 식감의 대체육을 만들 수 있습니다. 푸드 프린팅 연구자들이 식감 구현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사람들이 음식을 먹을 때 식감에 따라 느끼는 만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20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음 목표는 무엇인가요? 제가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해오며 느낀 큰 아쉬움은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과학과 실제 연구자가 생각하는 과학의 관심사 사이에 큰 간극이 있다는 겁니다. 천문학 학회에 가면 연구자가 가장 많은 세션은 은하 세션, 우주론 세션입니다. 최근엔 외계행성 세션이나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엔지니어는 백종원이라고 보면 돼요.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생성형 AI에게 질문할 때와 일반인이 질문할 때 답변의 질이 확연히 달라요. 예를 들어 ‘마법 지팡이는 어디서 사는 거야?’라고 질문하면 챗GPT는 답해주지 않아요. 현실에 없으니까요. 하지만 챗GPT에게 ‘네 이름은 브리트니아고,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그가 얼마나 호기심이 있었는지 우리 인간이 문답식 설문을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비인간 영장류들이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길 기다리거나, 평소에 좋아하던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호기심 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낯설거나 새로운 자극(음식, 장난감 등)을 제공해 비인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현실에서도 영화에서처럼 ‘코어 구역’과 ‘일반 구역’이 존재할지 모릅니다. 소득이 높은 나라는 미세먼지가 적고, 그렇지 않은 나라는 많다는 보고서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4월 WHO는 세계 117개국 6743개 도시 공기 질을 분석한 ‘WHO 대기질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잘 흐를 수 있도록 전기 저항이 낮은 전극이 각 전하 전달층에 결합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빛이 들어오는 방향의 전극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투명전도성 기판을, 반대편엔 금속 전극을 주로 사용합니다. 햇빛이 페로브스카이트층에 흡수되면 전자는 여기가 돼 전자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콘센트 모양은 왜 나라마다 다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5호
- 통하면서 전기제품이 작동하는 거예요. 콘센트 모양은 나라마다 달라요. 1800년대 후반, 일반 가정에서 전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전 세계의 전기제품 제조회사들이 각기 다른 모양으로 플러그와 콘센트를 개발했거든요. 당시에는 사람들이 해외로 많이 이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콘센트 모양이 달라도 ... ...
- [기획] 어린이 VS 어른, 앓는 질병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줄면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위험 상황이 반복될 확률이 높아질 거예요. Q. 소아를 일반 응급실에서 치료해도 되는 거 아닌가요?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전문의가 없으면 병원에서 진료를 거부하기도 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성인의 신체 특성과 치료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소아청소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