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다 보니
오차
가 있기 마련이지만, 매년 개화에 비해 단풍이
오차
범위가 더 넓다. 같은 생물의 변화인데도 이런 차이가 생기는 건 무엇 때문일까.먼저 단풍 시기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아보자. 현재 단풍 시기를 발표하는 곳은 국립산림과학원과 예보업체인 웨더아이,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용해 나이를 추정한다. 그렇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오차
는 발생하기 마련인데, 이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현재 많이 이뤄지고 있다. 법의인류학자가 감식 결과를 내놓으면 수사 기관은 실종자 정보와 비교해 피해자의 범위를 줄여나간다. 만약 감식 결과가 잘못되면 실제 피해자가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전달받았다. 믿지 않을 방법이 없었다. 아무리 많은 실험을 반복해도, 단 한 차례의
오차
도 찾아낼 수 없었다. 그것은 믿음의 문제가 아니었다. 귀납법의 오류를 따질 일도 아니었다. 그것은 그냥 진리였다. 해가 뜨고 지는 것만큼이나 엄연한 진리. 차라리 들여다보지 않는 편이 낫겠다는 생각을 ... ...
[과학뉴스] DNA가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못했다.연구팀은 DNA를 660nm 파장의 붉은 빛만 반사하는 특정 구조로 접고, 20nm 이하의
오차
로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진행한 폴 로드먼드 교수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작은 컴퓨터 회로를 만드는 데 이 기술이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7월 11일자에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더욱 실감나는 경험을 할 수 있답니다.” 박정민 박사님께서 개발한 가상현실 기술은
오차
가 5㎜ 정도로 아주 정밀하다고 해요.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요.“먼 곳에 있는 사람과 젠가뿐 아니라 체스 같은 재미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또한 실제 그 장소에 ...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비교해 시간의
오차
를 측정하고, 광시계에 반영했다. 여러 번 반복한 결과 두 광시계의
오차
를 5시간에 40fs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이번 실험은 광섬유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공기 중에 직접 레이저를 쏴 진행한 만큼, 바람 등 환경요인에 의해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계수로 갖는 방정식의 해로 표현할 수 없는 수인 초월수를 억지로 방정식의 해로 만들면
오차
가 얼마나 생기는지 밝혔습니다. 다음 해에는 정수 집합에 길이가 3인 등차수열이 무한히 많이 포함돼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처럼 정수론 역사에 길이 남을 연구로 1983년에는 런던수학회가 주는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었어. 하지만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입하면 조금씩
오차
가 생겼지. 이런
오차
를 바로 내가 상대성이론으로 바로잡은 거야. 그리고 처음으로 ‘중력파’라는 개념을 알아냈지. 중력파는 “시공간의 그물이 파도처럼 일렁이는 것”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장비를 섬세하게 조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지어 기상1호 자체에서 나오는 매연도
오차
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매연이 나오는 연통은 배의 뒷부분에 있는데, 배가 움직일 때는 매연이 바람에 씻겨 관측에 지장이 없다. 그래서 관측은 꼭 배가 움직일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문에 비를 구할 때 꼭 사람의 눈높이를 이용해야 합니다. 눈높이 대신 키를 이용한다면
오차
가 생길 수 있습니다.그럼 이제 실제로 나무와 사람 사이에 거울을 둬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봅시다. 거울을 둘 곳은 눈으로 거울을 봤을 때 나무 꼭대기가 보이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이 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