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측"(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1834년 2월 8일 주기율표 발견한 멘델레예프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서로 어떻게 반응할지, 어떤 화합물을 만들어낼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지 예측할 수 있게 해줬어요. 멘델레예프는 주기율표 외에도 기체의 압력과 부피에 관한 연구와 액체의 열팽창에 관한 연구 등을 진행하며 화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랍니다 ... ...
- [기획] 이상 고온이 불러온 이상한 한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구온난화라는 말이 실감 나게 지난해 11월 말까지 북반구는 따뜻한 날들이 이어졌어요. 그러다 12월 초 갑자기 강추위가 몰아쳤어요. 북반구를 얼려버린 강추위의 원인은 약해진 ... 강해지겠지만, 강추위의 기간이 짧아지는 대신 더욱 강력해진 추위도 함께 찾아올 것으로 예측됩니다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술 ‘엔맵(NMAP)’을 발표했다. 인터넷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요청을 빠르게 파악하고 예측해 그에 맞게 서버 프로세서의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는 식이다. 앞으로 더 중요해질 디지털 탄소발자국 정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결코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실 디지털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마찬가지입니다.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바로잡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그 그림자를 짙게 드리웁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이 2022년 5월 1일 제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에게 보낸 편지 중 일부를 발췌했다. 문 우주탐사그룹장은 2022년 4월 27일부터 5월 1 ...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무엇인가요?호주 전역에 퍼진 토끼 사례처럼, 외부에서 새로운 생물이 들어오면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요. 생물보안(Bio-Security)은 기존 생태계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외래 생물이 들어와 퍼지는 것을 막는 조치입니다. 저는 생물 보안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호주 토끼의 유전자를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어떤 일이 몇 번 벌어졌을 때 다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는 규칙을 찾거나 예측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수학이 하는 일이고 나아가서 인류의 본성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1, 2, 3을 거쳐서 n으로 이렇게 가는구나를 눈으로 보게 되면 수학을 재미있고 즐겁게 배울 수 있는데, 그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023년 GPT-4를 출시할거란 예측과 함께 GPT 시리즈가 이번에도 인공지능(AI)의 판도를 바꿀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OpenAI는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 연구소로 2020년 5월 ‘현존하는 최고의 자연어처리 AI’라고 평가받는 GPT-3를 개발했다. GPT 시리즈는 과거 하나의 일을 ... ...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상업적으로 실현되려면 많은 일을 해야 한다”며 “실현까지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 예측한 이유다. 에너지 상용화까지 가는 길은 험난할 예정이다. NIF의 ‘관성 가둠 핵융합’ 연구는 수소 폭탄 개발에서 태동해 현재도 무기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황용석 서울대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인다. 가족이니까 무조건 나이가 가장 많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울 것이라는 예측은 섣부를 수 있다는 뜻이다. 오히려 가족 중심이기 때문에 누구에게서 얼마나 다양하고 능숙한 기술을 배울지 심사숙고해서 골라야 하지 않을까. 나는 이번 관찰실험 결과를 1월 말 ‘국제영장류동물학회지’에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업의 시장논리에 의해 이뤄졌었죠. 이제는 AI가 바꿔놓을 사회경제적 변화를 예측하고 여기로부터 오는 해악을 막는 논의를 할 시기입니다.” 신 교수 뿐 아니다. 기자가 인터뷰한 전문가들은 모두 AI는 어디까지나 ‘도구’라고 입을 모아 강조했다. 인문학자든 과학자든. 이 HK+ 사업단장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