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늘어나고 휘어지는, 뱀을 닮은 배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충격에 강하고 유연하며 잘 늘어난다는 특징이 있어요.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장비연구실 장봉균, 현승민 박사 연구팀은 이런 뱀의 비늘 구조와 유사한 배터리를 개발했어요. 여러 개의 작고 단단한 배터리가 뱀의 비늘과 같은 구조로 연결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죠.배터리를 ...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중입니다! 해킹이란 단어에 놀랐다면 진정하세요. 바이오해킹이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연구실을 벗어나 생명체에 직접 유전자 변형을 가하는 기술이에요. 과학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유전자 조작 기술을 활용하는 바이오해커가 될 수 있죠. 그뿐만 아니라, 식습관 조절 등을 통해 내 몸의 미생물 ... ...
- [통합과학 교과서] 우주여행을 떠나는 꿀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하고, 개발된 우주복이 적합한 지 시험도 해야 해요. 그런데 코로나19로 인해 NASA의 연구실이 폐쇄돼 연구할 시간이 부족했어요. 참여하는 기업이 많아 일정을 조율하는 데도 시간이 오래 걸렸죠. 예산도 부족했어요.2021년, NASA가 우주복을 개발하기 위해 신청한 예산보다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 ... ...
- [특집] 다녀왔다! 상온얼음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얼음’이라고도 부를 수 있죠.”정확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장비를 가동하자 연구실이 초록빛으로 가득 찼어요. 레이저 측정을 할 때는 강한 빛에 눈이 상하지 않도록 보안경을 착용해야 하지요.“결정 형성은 아직도 밝혀질 내용이 무궁무진하게 남은 분야입니다. 예를 들어, 순수한 물이 ... ...
- [특집] 뜨겁다?구부러진다? 별난 얼음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요! 예! 와우! 흔들어! 전 세계의 수많은 얼음이 모여서 즐겁게 춤을 추고 있습니다.마치 아이스 락 페스티벌 같은 현장에서 디제잉을 하는 두 분,가만 살펴보니 디제이가 아니라 연구복을 입 ... Part2. [특집] 뜨거워도 언다고? 별난 얼음 등장!Part3. [특집] 다녀왔다! 상온얼음 연구실 ...
- [통합과학 교과서] 너의 목소리를 들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넓히기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헤드폰이 있다?! 6월 2일, 핀란드 알토대학교 음향 연구실 빌 풀키 연구팀은 2만Hz 이상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동시에 소리의 방향도 감지하는 헤드폰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헤드폰의 중앙에는 긴 막대기가 달려 있는데, 이 끝에 부착된 공에 초음파에 민감한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도 있어요. 2월 15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순환자원연구실 이경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폐비닐을 열분해하여 경질유나 중질유 등의 오일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폐비닐을 열분해하여 오일을 만드는 기존 기술은 긴 냉각 시간이 필요해서 ... ...
- [DGIST 융복합 파트너] 초음파와 빛의 융합 공기 방울로 극대화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기술을 연구하는 장진호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다. 그를 9월 30일 의료융합기술연구실에서 만나 미래 의공학 기술의 동향을 들었다.초음파와 빛, 공기 방울로 만났다초음파와 빛은 의료 현장에서 진단과 치료에 쓰이는 가장 중요한 도구다. 초음파는 투과력이 좋아 몸속 깊은 곳까지 진단하거나 ... ...
- [기획] 하수도1 질병을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때문에,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거예요. Q우리나라 연구 상황은 어떤가요?저희 연구실에서 지난해 5월 대구에 이어 진주, 서울, 세종 등 전국 곳곳에서 하수를 채취해 연구하고 있어요. 유의미한 결과도 나왔지요. 하지만 이후 감염자나 오염원을 찾거나, 예방하는 등의 제도, 정책이 ...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다른 학문의 바탕이 되는 본질적인 학문이라는 점에서 물리학에 매료됐다. “대학원 연구실을 고를 즈음 물리학과의 많은 실험실을 기웃거리다가 우주로 나갈 인공위성을 직접 만드는 우주과학실험실을 보고 이거다 싶었어요. 내가 만든 인공위성을 우주로 보내서 나와 직접 통신해 보는 경험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