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성기
사육
개량
생식기관
생식기
기관
d라이브러리
"
생식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GM연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제조사인 미국의 바이오 기업 ‘아쿠아바운티’는 GM연어를 양식장 안에만 가두고,
생식
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생태계 교란을 예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환경단체에서는 GM연어가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도 미지근합니다. 월마트를 비롯한 ... ...
Part 2. 닭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숲에 사는 늠름한 조상님, 적색야계전세계에서 키우는 닭의 품종은 약 250여 종에 달해요. 하지만 이들의 조상은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에 사는 야생 닭인 ‘적색야계’(아래 사진)예요. 적색야계가 인간과 함께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000~6000년 경으로 알려져 있어요. 2012년 호주 뉴잉글랜드대학 ... ...
한눈에 보는 치킨 경제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한눈에 보는 치킨 경제학Part 1. 조류의 진화Part 2. 닭의 진화Part 3. 치킨의 변화Part 4. 맛의 비법별별 치킨 백과 ...
Part 1. 조류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닭의 DNA는 공룡과 같다?닭은 꿩과 닭목 닭속에 속하는 조류예요. 그 근원은 바로 중생대에 지구를 누볐던 공룡이랍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벨로시랩터 등 두 발로 걷고 날카로운 발톱을 자랑하는 ‘수각류’가 조류의 직접적인 조상이지요.지난해 12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부 김희발 교수가 참 ... ...
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온가족의 맛있는 간식이자 든든한 영양식, 바삭한 껍데기와 짭짤 달콤 쫀득한 속살의 기막힌 조화….우리가 모두 사랑하는 그 이름은 바로 치킨!먼 옛날 우렁찬 소리로 아침을 알렸던 닭이 이제는 *‘치느님’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어요. 닭은 언제부터 우리 곁에 살게 된 ... ...
Part 4. 맛의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밑간 작업으로 빛나는 속살판매되는 치킨의 살은 백숙이나 전기통닭보다 촉촉하고 부드러워요. 또 시간이 지나도 뻣뻣하게 굳지 않지요. 그 비결은 흔히 ‘염지’라고 부르는 ‘밑간’ 작업에 있어요. 밑간 작업은 닭고기의 노린내를 없애고 단백질을 부드럽게 풀어 주는 역할을 해요. 또 고기에 ... ...
Part 3. 치킨의 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치느님은 언제 ‘기름세례’를 받으셨나?역사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닭튀김’은 중세시대 이탈리아에서 등장했어요. 당시 기름에 닭을 조리해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거든요. 하지만 우리가 먹는 ‘프라이드 치킨’은 18~19세기, 미국의 남부 지방 농장에서 일하던 흑인 노예들이 만들었다고 ... ...
별별 치킨 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날카로운 이빨로 지구를 지배하던 수각류 공룡이 인기 음식인 ‘치느님’이 되기까지 약 6500만 년의 긴 모험을 마쳤어요. 어때요? 쉽게 접하고 가볍게 먹는 치킨 하나에 동물의 진화와 사회 변천사, 경제와 의학까지 숨어 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이제 치킨을 먹게 되면, 그 치킨이 어디서 왔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있는 텔로미어는 생명체의 노화시계로 불린다. 사진에서 보이는 동그란 구는 하나의
생식
세포이며 파란색은 염색체, 빨간색은 텔로미어를 염색한 것이다. 텔로미어는 수억 년에 걸쳐 생명체가 진화해온 과정을 담은 증거이기도 하다.➌ 파도바이오과학상(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이사장상)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들을 집안 구성원의 성비를 알아내는 ‘마커’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여성의
생식
기에 사는 세균이 거주자 성비를 알려 주는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어 보이지만 피부에 사는 세균은 언뜻 이해하기 어렵다. 성별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피부에 사는 세균이기 때문이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