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로
위아래
질서
작은길
소로
d라이브러리
"
상하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경통 옆에 붙어 있는 접안경으로 보내는 방식을 쓰면 뉴튼식 반사망원경이 된다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 이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고자 하는 파력발전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발전기·진자·전구 등을 내장한 부표를 만들고 이것을 물에 띄워 파도치는대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부표 속에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상어나 물개, 돌고래가 순간적으로 빠른 속도를 내며 먹이를 따라간다든지 순식간에
상하
좌우로 방향을 바꾸는 모습은 TV에서 자주 볼 수 있다.현재 인간이 만드는 어떤 기계도 물속에서 이와 같은 성능을 보여주지 못한다. 1.5m도 되지 않는 황새치가 시속 100km로 헤엄치는 것과 같은 높은 효율을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날개를
상하
로 퍼덕일 수 있어 이륙 동작으로 전환하기가 쉽다. 착륙할 때에도 그대로
상하
운동하던 날개를 접어 지면에 내려 올 수 있어 보행과 비행자세를 쉽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우리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기존 모델을 수정한 익룡의 4족 보행자세와 앞발에 더욱 힘을 줘 이동하는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생긴다.정상인의 눈에서는 상이 망막에 정확히 맺히지만 각막 비대칭인 난시 환자는 좌우
상하
의 초점이 서로 다르게 맺힌다.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렌즈의 특성을 이용해 불규칙한 굴절률을 교정한다.렌즈 어떻게 눈에 맞나평소 렌즈 제조사는 사람들의 시력정보를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반전프리즘 전반사면 둘과 지붕형 반사면 하나가 광선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상의
상하
좌우를 완전히 반전시키는 프리즘주기율표에서 볼 수 있는 원자가(原子價)의 규칙 1904년 독일의 R 아베크가 제기했다 즉, 양성원소가 양전하, 음성원소가 음전하로 결합하는 경우를 정상원자가로 하고 반대의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또는 정단층일 때 지진해일이 발생한다. 보통 수평이동단층 운동은 두 지각판 사이에
상하
변동이 없기 때문이 지진해일을 일으키기 어렵다. 이번의 지진해일은 단층운동에 의해 해저의 지층이 순간적으로 솟아올라 바로 위의 바닷물을 강하게 쳐들어 큰 파도가 만들어져, 이 파도가 해안쪽으로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조사와 단속, 방범용으로 설치된 이 카메라들은 대부분 얼굴식별이 가능하다. 좌우 360도,
상하
60∼180도를 자유자재로 감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녹화 영상을 최고 10년간 보존한다.2000년 개통된 인천공항고속도로에는 1km마다 1대꼴로 고성능감시카메라가 설치됐다. 원격 조종되는 이 카메라는 1.5km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기적의 엔진’이 출현했다고 떠들어댔고, 주식 시장은 새로운 엔진 시장의 출현을 예
상하
며 덩달아 상승세를 보였다.방켈 로터리 엔진을 장착한 최초의 자동차 방켈-슈피더는 그로부터 3년이 지나서야 모습을 드러냈다. 시판에는 1년이 더 걸렸다. 방켈-슈피더가 자동차 경주대회에서 두 차례나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통해 훌라후프를 오래 돌리려면 허리와 발목에 의한 전후운동과 무릎에 의해 조절되는
상하
운동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화학상은 영국의 코카콜라 제조회사가 받았다. 영국 템스 강물을 ‘미 항공우주국(NASA) 기술’ 을 동원해 완벽하게 정화시켰다며 생수 ‘다사니’ 를 출시한 회사다.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에너지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김교수팀은 포피린을 좌우
상하
로 반복배열할 경우 좀더 효율적으로 빛을 흡수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 포피린을 일렬로 배열시켜 효율이 높은 나노전선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 김교수팀의 연구결과는 화학분야의 전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