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파
인산인해
군중
d라이브러리
"
사람물결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가장 친숙한 산이면서도, 쉽게 다가갈 수 없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 산 중 최고라는 의미에 걸맞게 백두산은 그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백두산의 아름다운 우리꽃 속으로 향기로운 여행을 떠나보자비행기가 하늘을 난다. 바다를 건너고 고작 한숨도 되지 않은 짧은 시간이 지나면 다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고대인의 문화,생활,그리고 정신세계까지 담겨있는 암각화.여기에는 과거 우리나라 동해 앞바다에 고래잡이가 번창했음이 나타나 있다.고대인의 흔적을 찾아가는 암각화 연구가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살펴보자.과거 한반도에 살던 고대인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돌도끼와 같은 원시도구로 사슴과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물질 세계에 대한 새로운 상을 제시한 빛과 물질의 파동-입자 이중성은 양자가설이 이론으로 성립되는 기초를 제공했다.파동은 연속적이고 공간에 퍼지는 특성을 가진다.반면 입자는 불연속적인 단위를 가지고 특정한 지점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특성을 가진다.이렇게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두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얇은 천의 올이 서로 겹치면서 만들어내는 무아레 무늬.인쇄나 방송에서는 원래의 모습을 왜곡시키는 천덕꾸러기로 대접받지만 짧은 길이를 측정하거나 자동차나 비행기의 편평한 정도를 알아내는데까지 이용된다.생활주변에서 만들어지는 무아레 무늬를 찾아보고 직접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피아노의 '도'음과 바이올린의 '도'음은 같지만 다르다.진동수가 동일하다는 점은 같지만 음색이 차이나기 때문이다.사실 피아노의 '도'음은 여러가지 파동이 합쳐진 것이다.이것은 바이올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어떤 파들이 합쳐지는가에 따라 같은 음이라도 음색이 다르게 나타난다.일상생활 속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망망대해에 혼자 남겨졌다면 어떨가.의지할 것이라고는 구명정 한척뿐.아무리 주위를 둘러봐도 육지가 발견될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태평양 한가운데를 표류하며 구조의 손길이 미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생존의 비법을 살펴보자.적도 부근 태평양 한가운데를 지나던 유람선이 뜻하지 않은 ... ...
3. 고에너지가속기가 해결하는 20세기 숙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힉스 입자를 찾아내는 것과 CP 대칭성이 깨지는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과 우주의 존재에 대한 기원을 과학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가까운 장래에 고에너지 가속기 실험을 통해 밝혀질 20세기의 숙제를 탐색해보자.지난 20세기 동안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이 수립되고 새로운 입자들을 만들 수 ... ...
e북의 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우리나라 학생이라면 누구나 허리가 휠 정도로 많은 책이 들어있는 가방을 맨 적이 있을 것이다.만약 손바닥만한 크기의 컴퓨터에 이 모든 것이 들어간다면 얼마나 편할까.대전에 살고 있는 필자는 기차로 서울에 자주 출장 가는 편이다. 항상 노트북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는데 그 속에는 1백여권의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어떤 한사람, 한권의 책이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예를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런 특별한 일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더해지면서 상황이 무르익었을 때 가능한 것이지 천재 한사람이 해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천문학 혁명을 이끈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그릇에 쌓인 빗물의 양을 재는 측우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과학기구다.그러나 측우기의 과학성은 장치의 발명에 있는 것이 아니다.우량을 재고 이를 통계처리하는 과학적 사고방식이 더욱 중요하다.강물의 수위를 쟀던 수표와 바람의 방향을 측정한 풍기죽 또한 우리 조상들의 과학정신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