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든 뒤 원시 생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여기에 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난소 세포를 섞어 배양했다. 난자가 성장하려면 난소에 있는 지지 세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그 결과, 원시 생식세포는 11일 뒤 성숙한 난자가 됐다. 연구팀은 이 난자를 다른 수컷 쥐의 정자와 인공수정 해 대리모 쥐에 ...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NgAgo를 이용해 유전자를 자를 수 없었다는 내용이었다.한춘위 교수는 “내 연구실에서 배양한 세포에서는 NgAgo가 분명히 작동한다”며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반론했다. 그리고 논문에 발표된 것보다 더 자세한 실험방법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과학자들의 반응이다.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공정 실증화기술을 이전했으며,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10t 규모의 미세조류를 배양 중이다. 심 교수는 “실험실에서 얻은 미세조류를 현장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우리 팀의 장점”이라며 “2020년까지 100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좁은 공간이지만 그래도 있을 건 다 있었다. 기본적인 시약과 기기는 물론 박테리아를 배양한 흔적도 보였다. 대학이나 연구소가 아닌 곳에서 이런 장비를 본 것은 기자도 처음이었다. 대부분의 장비는 진스페이스가 직접 구입한 것이다. 줄리 박사는 “돈이 부족해 대부분 중고”라며 “그중에서도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서서 가비알의 수를 늘리려 애쓰고 있다. 야생에서 채집한 알을 곧바로 동물원의 인공배양기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아기 가비알은 동물원의 철저한 보호를 받고 있다.외로운 조지의 작별 인사2012년 6월 24일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비보가 전해졌다. 핀타섬육지거북의 마지막 개체가 ...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두 기체는 각각 난방(메탄가스)과 녹조류 배양(이산화탄소)에 쓰인다. 다 자란 녹조류가 배양조 바닥에 가라앉으면 압착기가 식물성 기름을 짜내고, 이를 재처리해 바이오디젤을 만든다. 이 과정에 약 일주일이 소요되고, 1인당 200g씩 100명의 대변을 모으면 약 18명이 온수 샤워를 할 수 있는 정도의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리케차 박테리아를 삼킬 때 필요했을 단백질이다. 다만 로키아르카이오타를 직접 분리해 배양한 것이 아니라 유전자만 발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진핵생물의 조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는 여전히 추측만 할 뿐이다.두 조상을 토대로 이들이 어떻게 한 집에서 살게 됐는지도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복제품을 만들었다. 스웨덴 병원에서는 이 모형을 환자의 줄기세포가 담긴 용액에 넣고 배양물질을 투입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가 기관 조직으로 발달했다. 의료진은 인공기관을 환자의 기관이 있던 자리에 이식했다. 최근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과 줄기세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관지뿐만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정상 간세포에 비해 약물대사효소의 발현과 활성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지만 실험실에서 배양하기 쉽고 지속적으로 세포분열을 한다. 그 때문에 현재는 주로 이 세포를 이용해서 실험을 한다. 하지만 조금 더 온전한 간세포로 실험하기 위해서는 줄기세포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안전성평가연구소(KIT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합성박테리아 위에는 자외선 등을 설치했고, 관객은 원격으로 이 자외선을 끄고 켤 수 있었다. 자외선에 의해 합성 박테리아의 유전자는 변이를 일으키고, 변이된 유전자는 다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