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정신
엄마
어머니
마미
가슴
어머님
d라이브러리
"
맘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늘어나고 있다. 또 유통기한이 줄어드는 걸 감수하기도 한다. 안병수 씨는 “식품회사가
맘
만 먹으면 첨가물을 안 쓰고도 얼마든지 제품을 만들 수 있다”며 “다른 산업에 비해 식품회사는 R&D투자에 인색했는데 최근에는 많이 좋아졌다”고 평가했다. 사실 식품첨가물을 쓰면 여러 측면에서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타고 함께 ISS에 온 러시아 우주인 올레그 코노넨코는 우리나라의 교육실험장치를 특히
맘
에 들어 했다. 그는 “러시아는 왜 이렇게 좋은 장치를 못 만드는지 모르겠다”며 교육실험장치의 원리를 영어로 써 달라는 부탁까지 했다.당초 계획으로는 내가 수행한 실험장치는 지구로 돌아올 때 소유스의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타일을 조합하면 문양에 쓰인 3가지 기리 타일을 만들 수 있다. 루 박사는 “다비 임
맘
사원의 기리 타일 패턴은 펜로즈 타일로 완전히 전환할 수 있다”며 “다만 당시 디자이너들이 이런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고 있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펜로즈 타일링의 비밀은 황금비타일은 2가지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첫 음악시간에 단소를 배웠던 그는 “플라스틱 단소를 불었는데 소리의 깊이가 낮아
맘
에 안 들었다”며 “깊은 소리를 내기 위해 할아버지를 졸라 대나무를 구하러 다녔다”고 말했다. 단소를 직접 만들려고 마음먹은 것이다. 단소와 비슷한 굵기의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소리를 살폈다. 특히 입을 ... ...
‘물리학의 산’같이 넘어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물리교양서를 썼다는 이유만으로도 눈에 띄기에 충분하다. 무슨 생각으로 책을 쓸
맘
을 먹었을까.그는 “너무 쉽지도 어렵지도 않아서 또래가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이 필요해 보였다”고 말했다. 중학교 때 서점에 자주 가면서 그에겐 불만이 하나 생겼다. 자연과학 코너에 있는 물리교양서들은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조각난 몸을 찾아달라는 것. 우사는 독자적으로 이 사건을 조사하면서 다라라이가 평소
맘
에 들지 않는 상대에게 최면을 걸어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려냈다는 소문을 듣는다. 무의식적인 기억이 가능할까.인간의 대뇌는 이성과 논리적 판단을 하는 전두엽, 감정과 기억에 관계된 측두엽, 운동과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 있기 때문에 노련한 골키퍼라면 미리 방향을 잡고 대처할 수 있다. 소용돌이 ‘내
맘
나도 몰라’무회전 슛의 강점은 공의 진행방향을 골키퍼는 물론 공을 찬 사람조차 예측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무회전 슛도 UFO 슛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압력차 때문에 생기지만, 여기에는 공기의 흐름이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카메라는 초점이나 노출시간까지 자동으로 찾아주지만 표현력에 한계가 있다.하지만 큰
맘
먹고 DSLR 카메라를 샀더라도 이것저것 알아야 할 사항이 너무 많아 천체사진은 커녕 장롱 안에 묵혀 두는 경우가 많다. DSLR 카메라가 콤팩트 카메라에 비해 표현력이 넓은 가장 큰 이유는 렌즈를 교체할 수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두호 선생님이 주로 담당했었는데 ‘시대를 초월한 맹수들의 혈투 - 티라노사우르스와
맘
모스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동물의 왕을 뽑는다’ 같은 기획물은 어렸을 때 손에 땀을 쥐며 읽던 기억이 생생해 이 행사 핑계를 대고서라도 꼭 다시 보고 싶었다. 아쉽게도 이두호 선생님은 예전 작품의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새기 일쑤였다. 도대체 왜 종이가 움직이는지 스스로 만족할만한 답을 얻기 전에는
맘
편히 잠을 잘 수 없었다. 셀룰로오스의 구조가 처음으로 밝혀진 때가 1980년대였으니 당시에는 셀룰로오스 전문가라도 모르는 내용이 많았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그는 생물 서적과 화학 논문을 뒤지며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