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순식간에 합쳐지는 물방울, ISS에서는 느리게 합쳐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천천히 움직이며 합쳐지는 과정을 잘 관찰할수 있죠. 관찰 결과, 두 물방울이 합쳐지며 둘 사이에 다리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3개 이상의 물방울이 합쳐지는 모습을 관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구한다고 하면 밑변 × 높이 × 1/2 이잖아요. 이렇게 밑변과 높이라는 단어가 있고 그 둘을 곱해서 2로 나누면 삼각형의 넓이가 나온다고 설명할 수 있어요. 우리가 대화할 때 늘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부터 설명하기 시작하면 더 정확할 수는 있지만, 장황하겠지요. 그런데 수학이 기호화 되면서 배경 ... ...
- [Art Math] 인물의 생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엘렌 헥 Ellen Heak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모든 것과 수학은 연결돼 있어요. 수학과 예술 사이에는 학문적인 경계가 있지만 그 둘을 연결하기만 하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질문들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어요. 제 작품에 뫼비우스 띠나 클라인 병이 있는 것처럼요. 그런 의미에서 여러분도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수학과 엮어보세요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클로로바이러스의 DNA에 형광염료를 부착해 섭취 결과를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단 둘 간 차이는 있었다. 짚신벌레는 바이러스를 섭취하는 동안 크기와 개체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할테리아는 개체수가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클로로바이러스의 개체수는 100분의 1로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힘은 인식하기 어렵지만 굉장히 크다. 만약 사람만한 양전하와 음전하가 붙어 있다면 둘을 떼는 데는 에베레스트 산을 들어 올릴 정도의 힘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인 자기력이 있다. 자기력은 N극과 S극이 서로 당기는 힘으로, 전기력과도 관련이 깊다. 19세기 초 덴마크의 과학자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 사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디아나 독스를 만났어. 짱팬 정백이는 인디아나와 친해지고 싶은데, 일리가 보기엔 둘의 대화에 이상한 점이 있다지 뭐야? 친구는 소중한 존재예요. 놀 때, 공부할 때, 취미생활할 때 친구랑 함께 하면 정말 든든해요. 무엇보다도, 마음을 나눈다는 면에서 소중하죠. 친구와 함께 기뻐하고 ... ...
- [냠냠! 어수잼] 모두 몇 마리나 되는지 한번 세어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추위에 지친 펭귄들이 허들링을 하기 위해 하나, 둘씩 모이다 보니 어느덧 우리 마을에 사는 모든 펭귄이 다 모였어. 모두 몇 마리나 되는지 한번 세어 ... 아차! 나까지 포함하는 것을 깜빡했네! 혼자 남은 펭귄과 내가 짝이 되니까, 우리 마을 펭귄 수는 둘씩 짝지을 수 있는 ‘짝수’야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같은 사람이 말해봤자 뭐 하겠어? 평생 일해도 땅 한 줌도 못 사는데. ”둘은 주변을 둘러보고는 한숨을 크게 쉬었다. 발가락이 말했다.“제길, 내가 아니더라도 내 자식 누울 자리 하나라도 있어도 좋으려만.”핍은 뒤돌아 보지 않았다. 꼼지락거리는 발가락을 보고서 한 번 씩 웃어 줄 뿐이었다.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한편 우주와 지구는 서로 통신으로 연결돼야 한다. 특히 초광대역 레이저 통신이 이 둘 사이에서 일어날 때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대기’다. 지구의 생명이 숨 쉬고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대기지만,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통신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비해 크고 이빨도 날카롭죠.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아요. 둘 다 새끼 물고기인 치어 때는 눈이 몸 양쪽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치어는 수면 근처에서 생활하죠. 이후 성장하면서 넙치는 왼쪽, 가자미는 오른쪽으로 점점 눈이 이동하며 바닥 생활을 시작합니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