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허가를 잘 내려줄까 싶어서 그런 겁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주변에서 저희 프로젝트에 대한 좋은 반응을 많이 보내주고 계세요.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전국 각지의 학교에서 로켓 개발과 관련한 질문을 해오기도 하고요. 텀블벅 펀딩도 오늘(10월 26일) 보니까 310만 원 정도가 모였더라고요. 그중 절반은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앞에서 잠깐 소개한 최종민 씨는 망한 과제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과제를 대충 한 것에 대한 사과문 한 줄, 진짜 과제 내용 두 줄 남짓까지 도합 네 줄로 구성된 그의 과제는 전공 학기말 리포트였죠. 중요한 과제임이 틀림없었습니다. 최 씨는 “제가 어쩌다가 이런 과제를 냈고, 제 인생엔 무슨 일이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일부분은 사회가 주는 압박 때문에 오기도 해요. 감정의 근원을 구분해 보면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겁니다.” 물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더라도 실패가 뼈아프긴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건 이 실패를 어떻게 양분으로 삼느냐겠죠. 실패주간의 마지막 날인 11월 3일, KAIST 학술문화관에선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원형 챔버, 렌즈, 거울과 같은 장치를 직접 보니 인상깊었다”면서 “지금껏 레이저에 대한 궁금증을 책만으로 풀기 아쉬웠는데, 직접 보고 설명을 들으니 신기했다”고 했다. 조영준(순천 왕운중 1) 독자는 “세계 최강의 4페타와트 레이저를 만들어내는 시설을 눈앞에서 보고 설명을 들으며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총독부의 우두 강제 접종이 시행되기 전까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우두법 시술에 대한 소위 ‘수구 세력’들의 강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우두법 시술 거부는 단순히 인두법이 민간에 만연해있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우선 당시 사람들은 우두법의 천연두 예방 효과를 의심하고 있었다.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것으로 드러났어요. 시야 방해물의 개수는 평균 57.8개에 달했지요. 어린이는 위험성에 대한 판단과 인지능력이 아직 성장하는 단계예요. 이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에서 관찰한 등하굣길의 CCTV 영상을 보면, 어린이와 성인의 보행 경로가 많이 다른 ... ...
- [현장취재] 공원에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2023 기자 커뮤니티 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찾은 쪽지의 개수는 모두 달랐지만, 모두 푸짐한 선물을 받아갔지요. 기사쓰기 챌린지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됐어요. 유익하고 재미있는 기사를 쓴 어린이 기자들은 행동기자상, 성실기자상, 열혈기자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시상식이 끝난 후, 자리에 있던 모든 어린이 기자들이 한 명씩 소감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경험이 있는 어린이는 의사의 동의 없이 VR기기를 사용해선 안 돼요. 두 번째는 안전에 대한 문제입니다. VR기기를 착용하면 앞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주변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넘어질 수 있어요. 따라서 VR기기를 사용하기 전에 주변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러 명의 사용자가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열정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세계에 대한 호기심, 주변 사람들의 소중함, 그리고 인류에 대한 사랑을 잊지 않는다면 설령 실패와 좌절의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더라도 분명 여러분에게는 무릎을 털고 일어나 다시 달릴 수 있는 의지와 용기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먼 미래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결론지어졌지만, 이 사건은 초전도체와 초전도체 연구에 대한 관심을 크게 환기했다. 1911년 네덜란드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영하 269℃에서 고체 수은의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다. 최초의 초전도체 현상을 포착한 것이다. 이후 1957년 미국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